「無効票」は韓国語で「무효표」という。
|
![]() |
・ | 그의 투표는 기입 실수로 무효표가 되었다. |
彼の投票は、記入ミスで無効票となった。 | |
・ | 무효표가 너무 많아서 선거 결과가 늦어졌다. |
無効票が多すぎて、選挙結果が遅れた。 | |
・ | 무효표의 원인을 조사 중입니다. |
無効票の原因を調査中です。 | |
・ | 의도적으로 무효표를 던진 사람도 있는 것 같다. |
意図的に無効票を投じた人もいるらしい。 | |
・ | 무효표 수가 예상보다 많았다. |
無効票の数が予想以上に多かった。 | |
・ | 그녀는 이름을 잘못 써서 무효표가 되었다. |
彼女は名前を間違えて書いて無効票になった。 | |
・ | 선거관리위원회가 무효표를 확인하고 있다. |
選挙管理委員会が無効票を確認している。 | |
・ | 무효표를 줄이기 위해 설명회가 열렸다. |
無効票を減らすために説明会が開かれた。 | |
・ | 복수의 후보에게 동그라미를 쳐 무효표가 되었다. |
複数の候補に丸をつけて無効票にされた。 | |
・ | 무효표가 많아 재선거를 검토 중이다. |
無効票が多く、再選挙を検討中だ。 | |
・ | 무효표를 막기 위해 가이드라인을 배포했다. |
無効票を防ぐためにガイドラインを配布した。 | |
・ | 기입 실수로 인해 그의 표는 무효표가 되었다. |
記入ミスにより、彼の票は無効票とされた。 | |
・ | 무효표가 대량으로 나온 원인을 규명하다. |
無効票が大量に出た原因を究明する。 | |
・ | 무효표 비율이 예상 이상으로 높았다. |
無効票の割合が予想以上に高かった。 | |
・ | 무효표가 선거의 신뢰성을 떨어뜨렸다. |
無効票が選挙の信頼性を低下させた。 | |
・ | 무효표의 수가 근소한 차이로 선거 결과에 영향을 주었다. |
無効票の数が僅差で選挙結果に影響を与えた。 | |
・ | 선거관리위원회는 무효표를 검증했다. |
選挙管理委員会は無効票の検証を行った。 | |
・ | 무효표가 많은 것에 시민이 불만을 나타냈다. |
無効票の多さに市民が不満を示した。 | |
・ | 그의 무효표가 선거 결과를 뒤집지는 않았다. |
彼の無効票が選挙結果を覆すことはなかった。 | |
・ | 무효표를 줄이기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 |
無効票を減らすための対策が求められる。 | |
・ | 그녀의 무효표는 단순한 기입 실수였다. |
彼女の無効票は単なる記入ミスだった。 |
선거권(選挙権) > |
법안(法案) > |
투표를 마치다(投票を終える) > |
지방 선거(地方選挙) > |
국론 분열(国論分裂) > |
면책(免責) > |
흑색선전(デマ) > |
강국(大国) > |
현안 문제(懸案問題) > |
신냉전(新冷戦) > |
후원회장(後援会長) > |
불출마(不出馬) > |
지도부(指導部) > |
혁명하다(革命する) > |
유공자(有功者) > |
강경파(強硬派) > |
성명서(声明) > |
선거 공약(選挙公約) > |
강경 우파(強硬右派) > |
보수 세력(保守勢力) > |
복권(復権) > |
군국주의(軍国主義) > |
금권 정치(金権政治) > |
거국일치(挙国一致) > |
입후보(立候補) > |
기표소(記票所) > |
사민주의(社民主義) > |
창당하다(立党する) > |
재일동포(在日コリアン) > |
개표작업(開票作業)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