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宗主国」は韓国語で「종주국」という。
|
![]() |
・ | 역사적으로 종주국과 그 식민지의 관계는 복잡했다. |
歴史的に見て、宗主国とその植民地の関係は複雑だった。 | |
・ | 종주국은 식민지에 대해 여러 법령을 시행하였다. |
宗主国は植民地に対して様々な法令を施行した。 | |
・ | 종주국의 정책이 식민지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
宗主国の政策が植民地の社会に大きな影響を与えた。 | |
・ | 종주국에서 보낸 대표자가 식민지 통치를 맡고 있었다. |
宗主国から送られた代表者が植民地の統治にあたっていた。 | |
・ | 종주국의 언어가 식민지의 공용어로 사용되었다. |
宗主国の言語が植民地の公用語として使用された。 | |
・ | 종주국의 지배하에서 현지 문화가 억압되기도 하였다. |
宗主国の支配下で、現地の文化が抑圧されたこともあった。 | |
・ | 식민지의 역사는 종주국의 역사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
植民地の歴史は宗主国の歴史と密接に関連している。 | |
・ | 종주국의 문화가 식민지 사회에 영향을 주었다. |
宗主国の文化が植民地の社会に影響を与えた。 | |
・ | 종주국의 법률이 식민지에서 적용되고 있었다. |
宗主国の法律が植民地で適用されていた。 | |
・ | 종주국의 영향으로 식민지의 정치체계가 바뀌었다. |
宗主国の影響で、植民地の政治体系が変わった。 |
책봉하다(冊封する) > |
토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 > |
한강의 기적(漢江の奇跡) > |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実録) > |
국보(国宝) > |
한일 합방(日韓併合) > |
가야(伽耶) > |
근대(近代) > |
복원 작업(復元作業) > |
여신(女神) > |
제이차세계대전(第二次世界大戦) > |
사대부(両班) > |
거란(契丹) > |
왕실(王室) > |
유사전(有史前) > |
성곽(城郭) > |
안중근(安重根) > |
양반(両班) > |
기원전(紀元前) > |
시대(時代) > |
노예제도(奴隷制度) > |
노예(奴隷) > |
무형 유산(無形遺産) > |
왜적(敵である日本) > |
신석기 시대(新石器時代) > |
백제(百済) > |
귀족(貴族) > |
헤이그 협약(ハーグ条約) > |
왕위(王位) > |
빗살무늬 토기(櫛目文土器)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