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覇権」は韓国語で「패권」という。
|
![]() |
・ | 패권을 다투다. |
霸權を争う。 | |
・ | 세계의 패권을 둘러싸고 미중이 각축을 벌이고 있다. |
世界の覇権を巡り、米中がしのぎを削っている。 | |
・ | 미중 경쟁의 본질은 패권을 지키려는 미국과 도전하는 중국의 총력전이다. |
米中競争の本質は覇権を守ろうとする米国と挑戦する中国の総力戦だ。 | |
・ | 미국의 패권은 점차 지나간 과거가 되고 있다. |
米国の覇権は次第に過ぎ去った過去になりつつある。 | |
・ | 패권은 한 국가에 힘이 집중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
覇権とは、一つの国家に力が集中する現象を意味する | |
・ | 패권 경쟁이 치열하게 벌어지고 있다. |
覇権競争が激しく行われている。 | |
・ | 패권국가가 흔들릴수록 열강의 각축, 식민지 쟁탈전이 심해집니다. |
覇権国家が揺らぐほど、列強の角逐、植民地争奪戦は激しくなります。 | |
・ | 패권은 군사력 못지않게 경제력에 따라 결정됩니다. |
覇権は軍事力に劣らず経済力によって決まります。 | |
・ | 신흥강국의 부상이 기존 패권국가를 위협했다. |
新興強国の台頭が既存の覇権国家を脅かした。 | |
・ | 패권국이 힘을 통해 세계를 지배할 때 제국이 나타납니다. |
覇権国が力を通じて世界を支配する時、帝国が現れます。 | |
・ | 북극해는 지구 규모의 기후 변동에 의해 새로운 패권 다툼의 무대가 되고 있다. |
北極海は地球規模の気候変動によって新たな覇権争いの舞台となっている。 | |
・ | 설욕을 하고 패권을 탈환하다. |
雪辱を果たして覇権を奪還する。 | |
・ | 영국은 일찍이 세계의 패권을 장악했던 시대가 있었습니다. |
イギリスは、かつて世界に覇を唱えた時代がありました。 | |
・ | 패권적 모습을 보이면 국제적인 위상도 손상받을 수밖에 없다. |
覇権的態度を見せるなら、国際的な地位も傷つくほかない。 |
韓国語(発音) | 日本語 |
---|---|
패권을 장악하다(ペックォヌルル チャンアカダ) | 覇を唱える |
정치 활동(政治活動) > |
주권자(主権者) > |
당권(党の主導権) > |
대변인(スポークスマン) > |
정의(正義) > |
결의문(決議文) > |
체제 전복(体制転覆) > |
절대 권력(絶対権力) > |
동원령(動員令) > |
기명 투표(記名投票) > |
대선(大統領選挙) > |
홍익인간(広く人間社会に利益をもたら.. > |
임시 국회(臨時国会) > |
봉건제도(封建制度) > |
투표율(投票率) > |
후보(候補) > |
공천(候補者を公式に推薦して立てるこ.. > |
지지율(支持率) > |
무정부 상태(無政府状態) > |
남북 정상회담(南北正常会談) > |
총선거(総選挙) > |
주의(主義) > |
부총리(副総理) > |
좌파(左派) > |
대북(対北) > |
나랏일(国事) > |
탈수(脱水) > |
탄핵(弾劾) > |
국정원(国家情報院) > |
노림수(狙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