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官僚制」は韓国語で「관료제」という。
|
![]() |
・ | 관료제가 조직의 효율을 방해한다. |
官僚制が組織の効率を妨げる。 | |
・ | 그는 관료제 개혁을 제안했다. |
彼は官僚制の改革を提案した。 | |
・ | 관료제의 영향으로 결정이 늦어졌다. |
官僚制の影響で決定が遅れた。 | |
・ | 관료제가 쓸데없는 비용을 낳는다. |
官僚制が無駄なコストを生む。 | |
・ | 관료제의 문제점을 지적하다. |
官僚制の問題点を指摘する。 | |
・ | 관료제의 개선이 요구된다. |
官僚制の改善が求められる。 | |
・ | 관료제의 폐해가 드러났다. |
官僚制の弊害が浮き彫りになった。 | |
・ | 관료제에 따른 불만이 커지고 있다. |
官僚制による不満が高まっている。 | |
・ | 관료제 개혁에 힘쓰다. |
官僚制の改革に取り組む。 | |
・ | 관료제 절차가 너무 번거롭다. |
官僚制の手続きが煩雑すぎる。 | |
・ | 관료제 절차를 간소화하다. |
官僚制の手続きを簡素化する。 | |
・ | 관료제의 절차를 재검토하다. |
官僚制の手続きを見直す。 | |
・ | 관료제의 절차를 간략화하다. |
官僚制の手続きを簡略化する。 | |
・ | 관료제 체제를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
官僚制の体制を見直すことが必要だ。 | |
・ | 관료제 절차를 간략화함으로써 효과를 볼 수 있다. |
官僚制の手続きを簡略化することで効果が出る。 | |
・ | 관료제 개혁이 진전되고 있다. |
官僚制の改革が進展している。 |
취임(就任) > |
시의회(市議会) > |
불복종하다(従わない) > |
반대(反対) > |
마이핀(My-PIN) > |
처장(処長) > |
도로명 주소(道路名住所) > |
비영리 단체(非営利団体) > |
혈세(血稅) > |
사무관(事務官) > |
백지상태(白紙状態) > |
행정가(行政家) > |
대책위(対策委員会) > |
백서(白書) > |
국비(国費) > |
공론화(公論化) > |
위임(委任) > |
간략화하다(簡略化する) > |
증명 서류(証明書類) > |
예타(豫備妥當性) > |
궐위(欠位) > |
시민권(市民権) > |
파면되다(罷免される) > |
자문 위원회(諮問委員会) > |
관료제(官僚制) > |
출생 신고(出産届) > |
조인식(調印式) > |
민원(陳情) > |
조직위원회(組織委員会) > |
장관(大臣)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