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超高齢社会」は韓国語で「초고령사회」という。
|
![]() |
・ | 한국은 이대로 가면 머지않아 초고령사회가 될 것이다. |
韓国は、このまま行けばやがて超ちょう高齢こうれい社会になるだろう。 | |
・ | 65살 이상 인구가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20%를 넘으면 ‘초고령사회’로 구분한다. |
65歳以上の人口が全人口に占める比率が20%を超えれば「超高齢社会」に分類する。 | |
・ | 일본은 세계에서도 유수의 초고령사회가 될 것이 확실시 되고 있다. |
日本は世界でも有数の超高齢社会となることが確実視されている。 |
학파라치(学パラッチ) > |
양극화 사회(格差社会) > |
타조 세대(ダチョウ世代) > |
천민자본주의(賤民資本主義) > |
남북문제(南北問題) > |
입시 개혁(入試改革) > |
파파라치 제도(パパラッチ制度) > |
코시안(韓国人と東南アジア人のハーフ.. > |
도시 문제(都市問題) > |
도가니법(トガニ法) > |
문제(問題) > |
땅콩 회항(ナッツリターン) > |
쉐어슈머(シェオシュモ) > |
신용불량자(債務不履行者) > |
관피아(官フィア) > |
정보 유출(情報流出) > |
성평등(男女平等) > |
과제(課題) > |
갈매기 아빠(単身赴任する父) > |
인종 차별(人種差別) > |
시사 문제(時事問題) > |
특권층(特権層) > |
고독사(孤独死) > |
촛불 집회(ろうそく集会) > |
베끼기(パクリ) > |
사대강 사업(四大江事業) > |
성차별(性差別) > |
빈곤율(貧困率) > |
낙하산(天下り) > |
계층 상승(階層上昇)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