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設備投資」は韓国語で「설비 투자」という。
|
![]() |
・ | 금융 위기의 영향 등으로 제조업에서 설비 투자 억제가 영향을 미쳐 업적이 급속히 악화되었다. |
金融危機の影響等により、製造業で設備投資の抑制が影響し、 業績は急速に悪化した。 | |
・ | 호황을 누리는 기업은 설비 투자를 늘리는 경향이 있다. |
好況を享受する企業は、設備投資を増やす傾向にある。 | |
・ | 새로운 설비 투자에는 많은 자본이 필요합니다. |
新しい設備投資には多くの資本が必要です。 | |
・ | 재정난으로 설비 투자가 보류되었습니다. |
財政難で設備投資が見送られました。 | |
・ | 가공 무역을 위해 설비 투자가 이루어졌다. |
加工貿易のために設備投資が行われた。 | |
・ | 불황의 시대, 굳이 설비 투자를 해 업적을 늘리고 있는 기업이 있다. |
不況の時代、あえて設備投資を行い、業績を伸ばしている企業がある。 | |
・ | 지역의 교육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지자체는 학교 설비 투자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
地域の教育環境を改善するために、自治体は学校の設備投資を行っています。 | |
・ | 기업은 설비 투자를 통해서 노동 생산성의 향상을 꾀한다. |
企業は設備投資を通じて労働生産性の向上を図る。 | |
・ | 많은 의료 기관이 경영난에 빠지는 가장 큰 원인은, 설비 투자에 지나치게 비용을 들이는 것입니다. |
多くの医療機関が経営難に陥る最も大きな原因は、設備投資にコストをかけすぎていることです。 |
경제 협력(経済協力) > |
자극책(刺激策) > |
수급 조절(需給調節) > |
경제학자(経済学者) > |
경기 순환(景気循環) > |
노동 시장(労働市場) > |
상표권(商標権) > |
노동력 부족(労働力不足) > |
파이가 커지다(パイが大きくなる) > |
시장 개입(市場介入) > |
지방세(地方税) > |
환차손(為替差損) > |
물가(物価) > |
장기 국채(長期国債) > |
물물교환(物物交換) > |
거래하다(取引する) > |
수출입(輸出入) > |
물가 상승률(物価上昇率) > |
전망치(見通し) > |
가계 부채(家計負債) > |
불로소득(不労所得) > |
무역(貿易) > |
압축 성장(圧縮成長) > |
고물가(物価高) > |
돈을 풀다(量的緩和する) > |
덤핑(ダンピング) > |
성장세(成長の勢い) > |
부국(富国) > |
매수되다(買収される) > |
자유 방임주의(自由放任主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