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内需」は韓国語で「내수」という。
|
![]() |
・ | 내수 중심의 성장 모델로 변경할 필요가 있다. |
内需を中心とする成長モデルに変更する必要がある。 | |
・ | 내수 부진을 해소하기 어렵다고 지적하는 목소리도 들리고 있다. |
内需不振の解消は難しいと指摘する声も聞こえている。 | |
・ | 인도네시아는 내수 주도 성장이 견조하고 정치적으로도 안정되어 있다. |
インドネシアは内需主導の成長が堅調で、政治的にも安定している。 | |
・ | 돈이 돌지 않아서 내수 경기가 얼어붙었다.. |
金が回らなくなって、内需景気が凍りついた。 | |
・ | 수출은 호조였지만 내수는 부진했다. |
輸出は好調だったものの、内需が振るわなかった。 | |
・ | 우양산은 양산에 방수 가공을 실시해 내수성을 갖게 한 우산입니다. |
晴雨兼用傘は、日傘に防水加工を施し耐水性を持たせた傘です。 | |
・ | 중국 내수 시장 판매가 직격탄을 맞았다. |
中国内需市場の販売が直撃を受けた。 | |
・ | 국내 경기가 내수 경기의 활성화로 빠르게 호전될 전망이다. |
国内経済が内需景気の活性化でいち早く好転される見込みである。 | |
・ | 내수 진작과 취약계층 지원에 하반기 경제 정책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
内需拡大と社会的弱者への支援に下半期の経済政策を重点を置いている。 | |
・ | 세계 경제의 회복과 맞물려 한국도 수출과 내수가 동시에 살아나고 있다. |
世界経済の回復と相まって、韓国も輸出と内需が同時に蘇っている。 |
韓国語(発音) | 日本語 |
---|---|
내수성(ネスソン) | 耐水性 |
내수 진작(ネスジンジャク) | 内需拡大 |
통상하다(通商する) > |
경제 성장률(経済成長率) > |
국채 발행(国債発行) > |
보유세(保有稅) > |
공정보합(公定歩合) > |
사유화(私有化) > |
FTA(에프티에이)(自由貿易協定) > |
무역 흑자(貿易黒字) > |
거래량(出来高) > |
가계 수지(家計収支) > |
시황(市況) > |
덤핑(ダンピング) > |
전년 동기 대비(前年同期比) > |
거시 경제(マクロ経済) > |
자유무역(自由貿易) > |
환차손(為替差損) > |
가계비(家計費) > |
고성장(高成長) > |
성장 부진(成長不振) > |
실익(実益) > |
방만하다(放漫だ) > |
예산(予算) > |
돈이 돌다(お金が回る) > |
인플레이션(インフレ) > |
공영(公営) > |
경기가 풀리다(景気がよくなる) > |
코스피(KOSPI) > |
평가 절하(平価切り下げ) > |
스톡옵션(ストックオプション) > |
무역 자유화(貿易自由化)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