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持ち合い相場」は韓国語で「보합세」という。
|
![]() |
이익을 낳다(利益を生む) > |
일자리를 창출하다(雇用を創出する) > |
과잉 유동성(過剰流動性) > |
무역 장벽(貿易障壁) > |
물가 상승률(物価上昇率) > |
부유층(富裕層) > |
상승 곡선(上昇曲線) > |
신협(信用協同組合) > |
공공투자(公共投資) > |
자유무역(自由貿易) > |
실물 경제(実体経済) > |
거품경제(バブル経済) > |
부국강병(富国強兵) > |
호조(好調) > |
경기 후퇴(景気後退) > |
사유 재산(私有財産) > |
선행 지수(先行指数) > |
경기부양책(景気浮揚策) > |
호황을 누리다(好況を享受する) > |
수요(需要) > |
양해각서(了解覚書) > |
반덤핑(反ダンピング) > |
인민폐(人民元) > |
경기가 얼어붙다(景気が冷え込む) > |
노동력 부족(労働力不足) > |
정부개발원조(政府開発援助) > |
세금(税金) > |
임금 상승률(賃金上昇率) > |
생산 가능 인구(生産可能人口) > |
코스피(KOSPI)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