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実体経済」は韓国語で「실물 경제」という。
|
![]() |
・ | 규제 완화 등을 통해 실물 경제를 활성화하는 정책이 필요합니다. |
規制緩和などを通じて、実態経済を活性化する政策が必要です。 | |
・ | 고물가·고금리·고환율 여파로 인한 실물 경제 둔화가 본격화할 것이다. |
物価、高金利、ドル高・ウォン安の余波による実体経済の低迷が本格化するだろう。 | |
・ | 실물 경제가 빠르게 위축되면서 경기침체 공포가 커지고 있다. |
実体経済が急速に萎縮しつつあることで、景気低迷の恐怖が強くなっている。 | |
・ | 금융불균형 누적으로 실물 경제의 하방 리스크가 코로나19 위기 이후 확대되고 있다. |
金融不均衡の累積で、実体経済の下方リスクがコロナ禍以降拡大している。 | |
・ | 물건의 가치가 실물 경제보다도 상당히 동떨어지게 상승하는 것이 버블 경제이다. |
モノの価値が実体経済よりも大きくかけ離れて上昇することがバブル経済である。 |
수출 물품(輸出物品) > |
통관(通関) > |
내수 진작(内需拡大) > |
전일 대비(前日対比) > |
추경안(補正予算案) > |
저소득층(低所得層) > |
불경기(不景気) > |
경제사범(経済事犯) > |
예산이 초과되다(予算を超える) > |
통상하다(通商する) > |
압축 성장(圧縮成長) > |
국세(国税) > |
환차손(為替差損) > |
외자(外資) > |
직접 투자(直接投資) > |
감세(減税) > |
레드오션(レッドオーシャン市場) > |
재원(財源) > |
시장규모(市場規模) > |
경제교류(経済交流) > |
호황을 누리다(好況を享受する) > |
예산(予算) > |
경제(経済) > |
재정 정책(財政政策) > |
원화 약세(ウォン安) > |
선순환(好循環) > |
민간 부분(民間部門) > |
수입 제한(輸入制限) > |
물가지수(物価指数) > |
투자 거품(投資バブル)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