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実体経済」は韓国語で「실물 경제」という。
|
![]() |
・ | 규제 완화 등을 통해 실물 경제를 활성화하는 정책이 필요합니다. |
規制緩和などを通じて、実態経済を活性化する政策が必要です。 | |
・ | 고물가·고금리·고환율 여파로 인한 실물 경제 둔화가 본격화할 것이다. |
物価、高金利、ドル高・ウォン安の余波による実体経済の低迷が本格化するだろう。 | |
・ | 실물 경제가 빠르게 위축되면서 경기침체 공포가 커지고 있다. |
実体経済が急速に萎縮しつつあることで、景気低迷の恐怖が強くなっている。 | |
・ | 금융불균형 누적으로 실물 경제의 하방 리스크가 코로나19 위기 이후 확대되고 있다. |
金融不均衡の累積で、実体経済の下方リスクがコロナ禍以降拡大している。 | |
・ | 물건의 가치가 실물 경제보다도 상당히 동떨어지게 상승하는 것이 버블 경제이다. |
モノの価値が実体経済よりも大きくかけ離れて上昇することがバブル経済である。 |
무역(貿易) > |
임시 주총(臨時株総) > |
통계(統計) > |
수익을 내다(収益を出す) > |
자본론(資本論) > |
초이노믹스(チョイノミクス) > |
투자자(投資家) > |
시황(市況) > |
경기 순환(景気循環) > |
FX마진거래(FX) > |
평가 절상(平価切り上げ) > |
수급 조절(需給調節) > |
외채(外債) > |
돈이 돌다(お金が回る) > |
국민 총생산(国民総生産) > |
코스피(KOSPI) > |
경기 변동(景気変動) > |
수출입(輸出入) > |
급매(急いで売るもの) > |
면세(免税) > |
어닝 쇼크(アーニングショック) > |
공영(公営) > |
경제(経済) > |
수출국(輸出国) > |
고소득자(高所得者) > |
소비(消費) > |
연말정산(年末調整) > |
무역 불균형(貿易不均衡) > |
물가지수(物価指数) > |
발전(発展)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