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経済」は韓国語で「경제」という。
|
![]() |
・ | 한국 경제는 재벌없이는 설명할 수 없다. |
韓国経済は財閥なしでは説明できない。 | |
・ | 한국 경제는 성숙기에 접어 들었다. |
韓国経済は成熟期に入った。 | |
・ | 이상 기후와 유가 상승이 국가 경제의 발목을 잡고 있다. |
異常気象と石油価格の上昇が国家の経済の足かせとなっている。 | |
・ | 우리나라의 경제는 고도 경제성장기를 거쳐 커다란 성장을 이루었다. |
我が国の経済は、高度経済成長期を経て大きな成長を遂げた。 | |
・ | 한국 경제는 1960년부터 경제적으로 급성장했다. |
韓国経済は、1960年から経済的に急成長を続けた。 | |
・ | 경제 위기가 많은 가정을 거리로 내몰았다. |
経済危機が多くの家庭を路上に追いやった。 | |
・ | 경제 상황이 혼조를 거듭하고 있다. |
経済状況が混潮を繰り返している。 | |
・ | 서구란, 경제 수준이 높은 영국, 프랑스, 네덜란드 등의 국가들을 말한다. |
西欧とは、経済の水準が高いイギリス・フランス・オランダなどの諸国をいう。 | |
・ | 저는 경제가 전문이에요. |
私は経済が専門です。 | |
・ | 경제 전망이 불투명합니다. |
経済の見通しが不透明です。 | |
・ | 양국의 경제력은 백중세다. |
両国の経済力は伯仲している。 | |
・ | 경제 위기 앞에 백약이 무효였다. |
経済危機の前ではどんな対策も無効だった。 | |
・ | 고공 행진하는 국제 유가가 경제를 압박한다. |
高騰する国際原油価格が経済を圧迫している。 | |
・ | 고공 행진하는 물가가 경제에 부담을 준다. |
高騰する物価が経済に負担をかけている。 | |
・ | 정부는 2050년까지의 경제 청사진을 발표했다. |
政府は2050年までの経済の青写真を発表した。 | |
민영화(民営化) > |
압축 성장(圧縮成長) > |
파탄(破綻) > |
매수되다(買収される) > |
경기동향지수(景気動向指数) > |
FX마진거래(FX) > |
경제 대국(経済大国) > |
임시 주총(臨時株総) > |
공개 입찰(公開入札) > |
인수 합병(M&A) > |
해외 시장(海外市場) > |
연말정산(年末調整) > |
증세(増税) > |
생산 가능 인구(生産可能人口) > |
평가 절하(平価切り下げ) > |
부실 기업(不良企業) > |
성장률(成長率) > |
예산(予算) > |
돈맥경화(お金がよく回らない) > |
대공황(大恐慌) > |
가계 수지(家計収支) > |
세계경제(世界経済) > |
무역 수지(貿易収支) > |
부유층(富裕層) > |
호황을 누리다(好況を享受する) > |
자유 방임주의(自由放任主義) > |
독과점(独寡占) > |
고도 경제성장(高度経済成長) > |
성장세(成長の勢い) > |
부국(富国)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