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経済発展」は韓国語で「경제발전」という。
|
![]() |
・ | 경제발전을 위해서는 정치적 안정이 필요하다. |
経済発展の為には政治的安定が必要である。 | |
・ | 교육의 질이 경제발전에 주는 작용은 무시할 수 없다. |
教育の質が経済発展に与える作用は無視できない。 | |
・ | 환경보호와 경제발전 사이에는 대립이 있다. |
環境保護と経済発展の間には対立がある。 | |
・ | 한국은 1960년대와 90년대 사이에 급속한 산업화를 통해 경제발전을 경험했다. |
韓国は1960年代から90年代にかけて急速な産業化を通じ、経済発展を経験した。 | |
・ | 중국은 급격히 경제발전을 이뤄 미국과 비견할 기세다. |
中国は急激に経済発展を成し遂げアメリカと肩を並べる勢いだ。 | |
・ | 민주주의 체제 아래 눈부신 경제발전과 진정한 평등과 자유를 경험했습니다. |
民主主義体制の下で、目覚ましい経済発展と真の平等と自由を経験しました。 | |
・ | 개발독재란 경제발전을 우선하기 위해서 다른 정치 운동을 억압하고 독재를 취하는 것이다. |
開発独裁とは経済発展を優先するため、他の政治運動を抑圧し独裁をとることである。 | |
・ | 한국은 식민 지배의 아픔과 전쟁의 상처를 딛고 경제발전을 이룩하였다. |
韓国は、植民地支配の苦しみと戦争の傷を乗り越えて経済発展を成し遂げた。 |
해외 시장(海外市場) > |
자본주의(資本主義) > |
수요와 공급(需要と供給) > |
조세 회피처(タックスヘイブン) > |
무역 마찰(貿易摩擦) > |
외채(外債) > |
자본주의 체제(資本主義体制) > |
경기 순환(景気循環) > |
확정 신고(確定申告) > |
투자 자금(投資資金) > |
거래량(出来高) > |
대목(書き入れ時) > |
경제 성장률(経済成長率) > |
국유화(国有化) > |
전망치(見通し) > |
예산(予算) > |
경제(経済) > |
불공정(不公正) > |
소득 격차(所得格差) > |
부국(富国) > |
상승 곡선(上昇曲線) > |
경제 협력(経済協力) > |
시장을 개방하다(市場を開放する) > |
아베노믹스(アベノミクス) > |
수출액(輸出額) > |
투자자(投資家) > |
수출국(輸出国) > |
경제사범(経済事犯) > |
경기를 부양하다(景気を浮揚する) > |
투자를 회수하다(投資を回収する)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