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借款」は韓国語で「차관」という。
|
![]() |
・ | 정상회담의 자리에서 개발도상국에 대한 차관 문제가 거론되었다. |
首脳会談の席上、開発途上国に対する借款問題が話し合われた。 | |
・ | 차관이란 개발도상국의 발전을 위해 지원하는 유상자금 원조이다. |
借款とは開発途上国の発展への取り組みを支援する有償資金援助である。 | |
・ | 차관은 상당히 장기적이며, 저금리로 대부해주는 것이 특징입니다. |
借款は、非常に長期間であることと、低金利に貸し付けれれるのが特徴です。 | |
・ | 차관은 지금까지 아시아를 중심으로 한 개발도상국 경제 발전에 크게 기여해 왔다. |
借款は、これまでアジアを中心とした開発途上国の経済開発に大きく寄与してきた。 |
韓国語(発音) | 日本語 |
---|---|
장차관(チャンチャグァン) | 長次官 |
외채(外債) > |
가치 하락(価値下落) > |
최빈국(最貧国) > |
이익을 낳다(利益を生む) > |
국민 순생산(国民純生産) > |
낙수 효과(お金が回る効果) > |
저예산(低予算) > |
거시 경제(マクロ経済) > |
소비자 물가(消費者物価) > |
번영하다(繁栄する) > |
물가지수(物価指数) > |
상반기(上半期) > |
수출입(輸出入) > |
자본이득(キャピタルゲイン) > |
시장경제(市場経済) > |
경제효과(経済効果) > |
원화 강세(ウォン高) > |
국제통화기금(国際通貨基金(IMF).. > |
자본론(資本論) > |
수익을 내다(収益を出す) > |
마켓(マーケット) > |
물가(物価) > |
재정절벽(財政の崖) > |
세출(歳出) > |
후행 지수(遅行指数) > |
고물가(物価高) > |
경제발전(経済発展) > |
빈민국(貧民国) > |
해외 시장(海外市場) > |
시장을 개방하다(市場を開放する)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