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物価」は韓国語で「물가」という。
|
![]() |
・ | 물가가 오르다. |
物価が上がる。 | |
・ | 물가가 내리다. |
物価が下がる。 | |
・ | 물가가 뛰다. |
価格が跳ね上がる。 | |
・ | 물가가 치솟다. |
物価が急騰する。 | |
・ | 물가는 수요와 공급의 균형에 의해서 결정됩니다. |
物価は、需要と供給のバランスによって決まります。 | |
・ | 서울 물가는 너무 비싸다. |
ソウルの物価はとても高い。 | |
・ | 일반적으로 수요가 공급을 웃돌면 물가는 올라갑니다. |
一般に需要が供給を上回れば物価は上がります。 | |
・ | 금리의 움직임과 물가는 밀접한 관계가 있다. |
金利の動きと物価には密接な関係がある。 | |
・ | 예전보다 물가가 많이 올랐다. |
以前より物価がだいぶ上がった。 | |
・ | 소비자 물가 지수는 물가의 변동을 시계열적으로 측정한 것입니다. |
消費者物価指数は、物価の変動を時系列的に測定するものです。 | |
・ | 물가의 상승은 돈의 가치가 떨어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
物価の上昇は、お金の価値の目減りを意味します。 | |
・ | 장래엔 필리핀처럼 물가가 싼 나라에서 살고 싶다. |
将来はフィリピンみたいな物価の安い国に住みたい。 | |
・ | 물가의 안정은, 경제가 안정적이고 지속적 성장을 이루어 가는데 있어서 불가결한 기반입니다. |
物価の安定は、経済が安定的かつ持続的成長を遂げていくうえで不可欠な基盤です。 |
경기 후퇴(景気後退) > |
투자자(投資家) > |
경제제재(経済制裁) > |
장세(相場) > |
경기 회복(景気回復) > |
국채 발행(国債発行) > |
매수되다(買収される) > |
빈부차(貧富の格差) > |
물가 상승률(物価上昇率) > |
잠재 수요(潜在需要) > |
예상치(予想値) > |
경기부양책(景気浮揚策) > |
방만(放漫) > |
재정상태(財政状態) > |
빚투(借金暴露) > |
임시 주총(臨時株総) > |
자유 방임주의(自由放任主義) > |
부유층(富裕層) > |
치킨게임(チキンレース) > |
보호무역(保護貿易) > |
개별소비세(個別消費税) > |
거품경제(バブル経済) > |
경제개발(経済開発) > |
무역 적자(貿易赤字) > |
국민 총생산(国民総生産) > |
면세(免税) > |
예산이 초과되다(予算を超える) > |
경기 확장(景気拡大) > |
임금 상승률(賃金上昇率) > |
경제효과(経済効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