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物価高」は韓国語で「고물가」という。
|
![]() |
・ | 고물가 시대에 월급만 빼고 다 오른다. |
物価高の時代に、月給を除いて、すべて上がる。 | |
・ | 고물가로 우리 생활이 큰 영향을 받고 있어요. |
物価高で私たちの生活が大きな影響を受けています。 | |
・ | 고금리와 함께 고물가, 고환율의 3고로 경제에 적신호가 켜졌다. |
物価とともに金利、 為替も上昇する3高で 経済に赤信号が灯っている。 | |
・ | 고물가·고금리·고환율 여파로 인한 실물 경제 둔화가 본격화할 것이다. |
物価、高金利、ドル高・ウォン安の余波による実体経済の低迷が本格化するだろう。 | |
・ | 고물가와 고금리는 소비 위축과 가계·기업의 이자 부담으로 이어진다. |
高物価と高金利は消費萎縮と家計および企業の利子負担増へとつながる。 |
소비(消費) > |
선행 지수(先行指数) > |
기준시가(基準市価) > |
방만(放漫) > |
경상수지(経常収支) > |
경기를 타다(景気に左右される) > |
경쟁 입찰(競争入札) > |
돈맥경화(お金がよく回らない) > |
부유층(富裕層) > |
압축 성장(圧縮成長) > |
경기가 풀리다(景気がよくなる) > |
과당 경쟁(過当競争) > |
일자리를 창출하다(雇用を創出する) > |
자유무역(自由貿易) > |
빈부차(貧富の格差) > |
과잉 유동성(過剰流動性) > |
경영 성과(経営成果) > |
경제력(経済力) > |
버블 붕괴(バブル崩壊) > |
불경기(不景気) > |
입찰(入札) > |
연준(連邦準備制度理事会) > |
선진국(先進国) > |
아시아개발은행(アジア開発銀行) > |
돈을 풀다(量的緩和する) > |
노동 시장(労働市場) > |
대목(書き入れ時) > |
무역 흑자(貿易黒字) > |
물가 상승률(物価上昇率) > |
수입 제한(輸入制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