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放漫」は韓国語で「방만」という。
|
![]() |
・ | 방만 경영은 기업을 도산으로 몰고 간다. |
放漫経営は、企業を倒産へと追い込む。 | |
・ | 도와줘도 모자랄 판에 사사건건 훼방만 놓고 있다. |
助けてもらっても足りないのに、ことあるごとに邪魔ばかりしている。 | |
・ | 모방만 해서는 선진국을 뛰어넘을 수 없다. |
模倣だけでは先進国を越えることはできない。 | |
・ | 방만 경영의 특징으로 이익이 나올 때는 문제가 표면화하기 어렵다. |
放漫経営の特徴として利益が出ているうちは問題が表面化しにくい。 | |
・ | 방만한 경영을 해서, 원가의 부담을 수요자에게 부담시키면 안 된다. |
放漫な経営をして原価高の負担を需要者に課してはならない。 | |
・ | 방만한 경영을 해 왔기 때문에, 건전성을 잃은 회사가 줄지어 파탄했다. |
放漫な経営をしてきたため、健全性をなくした会社がつぎつぎと破たんした。 |
韓国語(発音) | 日本語 |
---|---|
방만하다(パンマンハダ) | 放漫だ |
FTA(에프티에이)(自由貿易協定) > |
투자를 회수하다(投資を回収する) > |
소득 격차(所得格差) > |
선투자(先行投資) > |
발전(発展) > |
경제학자(経済学者) > |
경기를 타다(景気に左右される) > |
경쟁 입찰(競争入札) > |
블루오션(ブルーオーシャン) > |
조세 회피처(タックスヘイブン) > |
민영(民営) > |
증세(増税) > |
이익을 낳다(利益を生む) > |
교역(交易) > |
경제력(経済力) > |
실업률(失業率) > |
잠재 수요(潜在需要) > |
설비 투자(設備投資) > |
자유무역(自由貿易) > |
경기가 풀리다(景気がよくなる) > |
보합세(持ち合い相場) > |
시장 개입(市場介入) > |
장세(相場) > |
무역 불균형(貿易不均衡) > |
예상치(予想値) > |
반독점(反独占) > |
신흥 시장(新興市場) > |
하반기(下半期) > |
파이가 커지다(パイが大きくなる) > |
인플레(インフ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