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低所得層」は韓国語で「저소득층」という。
|
![]() |
・ | 저소득층을 위해서 새로운 직업 훈련이 필요하다. |
低所得層のために新しい職業訓練が必要だ。 | |
・ | 저소득층 출산 비중은 줄어들고 고소득층 출산 비중은 높다. |
低所得層の出産数比重は低く、高所得層の出産数比重は高い。 | |
・ | 비은행권은 저소득층을 위한 대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ノンバンクは、低所得者層向けの貸付サービスを提供することが多いです。 | |
・ | 저소득층에 대한 세제 우대 조치가 검토되고 있다. |
低所得者層に対する税制の優遇措置が検討されている。 | |
・ | 저소득층의 생활 개선에는 정부의 지원이 필수적이다. |
低所得者層の生活改善には、政府の支援が不可欠だ。 | |
・ | 그는 저소득층에 초점을 맞춘 지원 활동을 하고 있다. |
彼は低所得者層に焦点を当てた支援活動を行っている。 |
가치 하락(価値下落) > |
연말정산(年末調整) > |
전망치(見通し) > |
개성공단(開城工団) > |
보유세(保有稅) > |
역성장(逆成長) > |
보호무역(保護貿易) > |
수출 물품(輸出物品) > |
확정 신고(確定申告) > |
건전한 투자(健全な投資) > |
소비자 물가(消費者物価) > |
수입국(輸入国) > |
소득 격차(所得格差) > |
엔저(円安) > |
경제사범(経済事犯) > |
투자 거품(投資バブル) > |
증세(増税) > |
경기 후퇴(景気後退) > |
대공황(大恐慌) > |
FTA(에프티에이)(自由貿易協定) > |
자유 방임주의(自由放任主義) > |
경기 확장(景気拡大) > |
구조 불황(構造不況) > |
동행 지수(一致指数) > |
국영화(国営化) > |
호경기(好景気) > |
물가 상승률(物価上昇率) > |
수출액(輸出額) > |
통화량(マネーストック) > |
국채 발행(国債発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