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所得格差」は韓国語で「소득 격차」という。
|
![]() |
・ | 도시와 농촌 사이에 소득 격차가 생겨 생활 수준이 달라졌다. |
都市と農村の間に所得格差が作られ生活水準が変わってきた。 | |
・ | 소득 격차가 벌어지고 있다. |
所得格差が広がっている。 | |
・ | 소득 격차에 따른 혼인·출산 격차가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
所得格差にともなう婚姻・出産格差が明確なことが分かった。 | |
・ | 비정규직의 확대에 의해, 소득 격차가 급속히 커지고 있다. |
非正規雇用の拡大により、所得格差が急速に広がっている。 | |
・ | 소득 격차를 시정하다. |
所得格差を是正する。 |
물가지수(物価指数) > |
공공투자(公共投資) > |
무역 수지(貿易収支) > |
연준(連邦準備制度理事会) > |
민간 부분(民間部門) > |
경영 성과(経営成果) > |
산업기반(産業基盤) > |
생산 가능 인구(生産可能人口) > |
수익을 내다(収益を出す) > |
천문학적(天文学的) > |
통계(統計) > |
거래하다(取引する) > |
보유세(保有稅) > |
파탄(破綻) > |
구조 불황(構造不況) > |
경제제재(経済制裁) > |
경제 성장(経済成長) > |
부실 기업(不良企業) > |
치킨게임(チキンレース) > |
빈국(貧国) > |
투자 거품(投資バブル) > |
규제 완화(規制緩和) > |
수입원(収入源) > |
양적완화(量的緩和) > |
전년 동기 대비(前年同期比) > |
무역 장벽(貿易障壁) > |
전자 거래(電子取引) > |
가계비(家計費) > |
물가 상승률(物価上昇率) > |
신흥 시장(新興市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