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所得格差」は韓国語で「소득 격차」という。
|
![]() |
・ | 도시와 농촌 사이에 소득 격차가 생겨 생활 수준이 달라졌다. |
都市と農村の間に所得格差が作られ生活水準が変わってきた。 | |
・ | 소득 격차가 벌어지고 있다. |
所得格差が広がっている。 | |
・ | 소득 격차에 따른 혼인·출산 격차가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
所得格差にともなう婚姻・出産格差が明確なことが分かった。 | |
・ | 비정규직의 확대에 의해, 소득 격차가 급속히 커지고 있다. |
非正規雇用の拡大により、所得格差が急速に広がっている。 | |
・ | 소득 격차를 시정하다. |
所得格差を是正する。 |
경기를 부양하다(景気を浮揚する) > |
아이엠에프 (IMF)(国際通貨基金.. > |
관세(関税) > |
수입국(輸入国) > |
호황을 누리다(好況を享受する) > |
원화 약세(ウォン安) > |
세출(歳出) > |
경제학(経済学) > |
완전 실업률(完全失業率) > |
증세(増税) > |
무역 자유화(貿易自由化) > |
가공 무역(加工貿易) > |
재정상태(財政状態) > |
경제(経済) > |
고물가(物価高) > |
경기 회복(景気回復) > |
치킨게임(チキンレース) > |
물가지수(物価指数) > |
경기 순환(景気循環) > |
덤핑(ダンピング) > |
엔고(円高) > |
민간 소비(民間消費) > |
시장을 개방하다(市場を開放する) > |
외화 수입(外貨収入) > |
재정(財政) > |
세계화(グローバル化) > |
경기 둔화(景気鈍化) > |
가계 부채(家計負債) > |
잠재 수요(潜在需要) > |
투자 자금(投資資金)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