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所得格差」は韓国語で「소득 격차」という。
|
![]() |
・ | 도시와 농촌 사이에 소득 격차가 생겨 생활 수준이 달라졌다. |
都市と農村の間に所得格差が作られ生活水準が変わってきた。 | |
・ | 소득 격차가 벌어지고 있다. |
所得格差が広がっている。 | |
・ | 소득 격차에 따른 혼인·출산 격차가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
所得格差にともなう婚姻・出産格差が明確なことが分かった。 | |
・ | 비정규직의 확대에 의해, 소득 격차가 급속히 커지고 있다. |
非正規雇用の拡大により、所得格差が急速に広がっている。 | |
・ | 소득 격차를 시정하다. |
所得格差を是正する。 |
경기 침체(景気低迷) > |
재정상태(財政状態) > |
가계 부채(家計負債) > |
경제개발(経済開発) > |
자본주의 체제(資本主義体制) > |
동행 지수(一致指数) > |
민간 소비(民間消費) > |
개별소비세(個別消費税) > |
부국강병(富国強兵) > |
과당 경쟁(過当競争) > |
빈국(貧国) > |
시황(市況) > |
빈민국(貧民国) > |
급등세(急激な上昇) > |
방만(放漫) > |
레드오션(レッドオーシャン市場) > |
수출입(輸出入) > |
경영 성과(経営成果) > |
발전(発展) > |
어닝 쇼크(アーニングショック) > |
무역 실무(貿易実務) > |
가치 하락(価値下落) > |
민간 부분(民間部門) > |
나랏빚(国の借金) > |
무역 자유화(貿易自由化) > |
재정 정책(財政政策) > |
일자리를 창출하다(雇用を創出する) > |
경제(経済) > |
국제 기준(国際基準) > |
기저 효과(基底效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