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需要」は韓国語で「수요」という。
|
![]() |
・ | 수요가 줄어드니 자연히 생산도 줄었다. |
需要が減って自然と生産も減った。 | |
・ | 가격은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된다. |
価格は需要と供給によって決まる。 | |
・ | 미중 무역 마찰의 영향으로 중국 대상의 수요가 급격히 감소했다. |
米中貿易摩擦の影響で中国向けの需要が急激に減少した。 | |
・ | 불안 심리나 앞날에 대한 불투명이 금에 대한 수요를 높이고 있다. |
不安心理や先行き不透明感が、金に対するニーズを高めている。 | |
・ | 훌륭한 자격증이 있어 봤자 수요가 없으면 도움이 되지 않는다. |
立派な資格があったところで、需要がなければ役に立たない。 | |
・ | 환경 변화를 파악하면서 고객의 다양한 수요를 정확히 파악해야 한다. |
環境の変化をとらえながら、お客様のさまざまニーズを的確に把握しなければならない。 | |
・ | 가격은 수요와 공급의 관계에서 결정된다. |
価格は需要と供給の関係で決まる。 | |
・ | 그 그래프는 수요의 변화를 보여줍니다. |
そのグラフは需要の変化を示しています。 | |
・ | 배증한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추가로 직원을 증원했습니다. |
倍増した需要に対応するため、さらにスタッフを増員しました。 | |
・ | 소속팀 훈련은 매주 수요일과 금요일이에요. |
所属チームの練習は毎週水曜日と金曜日です。 | |
・ | 여름철 더위로 에어컨 수요가 늘어난다. |
夏場の暑さでエアコンの需要が増える。 | |
・ | 가격을 매길 때는 원가와 시장의 수요를 고려해야 한다. |
値段をつける際には、原価と市場の需要を考慮しなければならない。 | |
・ | 수요가 증가하면서 생산 속도에 속도가 붙었다. |
需要が増えたため、製造スピードに拍車がかかった。 | |
・ | 내구재의 수요는 경제 성장과 밀접하게 관련이 있습니다. |
耐久財の需要は経済成長と密接に関連しています。 | |
・ | 열파가 계속되면 전력 수요가 급증할 수 있습니다. |
熱波が続くと、電力の需要が急激に増加することがあります。 | |
・ | 농산물의 수요는 다른 지역까지 확산되고 있습니다. |
農産物の需要は他地域にまで広がっています。 | |
・ | 수요 급감에 울상을 짓는 곳도 있다. |
需要の激減で泣きべそをかいているところもある。 | |
・ | 운수업의 수요는 경제 성장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運輸業の需要は、経済の成長に比例して増加することが一般的です。 | |
韓国語(発音) | 日本語 |
---|---|
수요일(スヨイル) | 水曜日 |
수요자(スヨジャ) | 需要者 |
수요예배(スヨイェベ) | 水曜礼拝 |
실수요자(シルッスヨジャ) | 実際の需要者 |
민간 수요(ミンガンスヨ) | 民間需要 |
잠재 수요(チャムジェスヨ) | 潜在需要 |
수요와 공급(スヨワコングプ) | 需要と供給 |
노동력 부족(労働力不足) > |
직접 투자(直接投資) > |
호조(好調) > |
전망치(見通し) > |
추경안(補正予算案) > |
펀드(ファンド) > |
급매(急いで売るもの) > |
국세(国税) > |
덤핑(ダンピング) > |
선을 회복하다(~ラインを回復する) > |
인플레이션(インフレ) > |
블루오션(ブルーオーシャン) > |
개성공단(開城工団) > |
아시아개발은행(アジア開発銀行) > |
경기 확장(景気拡大) > |
소비(消費) > |
설비 투자(設備投資) > |
재정(財政) > |
연말정산(年末調整) > |
빚투(借金暴露) > |
잠재 수요(潜在需要) > |
성장세(成長の勢い) > |
경착륙(ハードランディング) > |
수익을 내다(収益を出す) > |
사유화(私有化) > |
최빈국(最貧国) > |
고도 경제성장(高度経済成長) > |
가치 하락(価値下落) > |
국제통화기금(国際通貨基金(IMF).. > |
불경기(不景気)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