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설을 앞둔 대목이라 시장이 매우 붐빈다. |
正月を控えて市場が非常に賑やかだ。 | |
・ | 여름 방학 기간이 대목인데 지금은 밤낮으로 모두 한산하다. |
夏休み期間は書き入れ時だったが、今は昼も夜も閑散としている。 | |
・ | 연말 선물 수요가 많은 12월은 백화점 업계에서 가장 큰 대목입니다. |
お歳暮の需要が多い12月はデパート業界最大の書き入れ時です。 | |
・ | 설날은 상인들에게 대목이다. |
旧正月は商人にとって書き入れ時だ。 | |
・ | 크리스마스가 대목이라 가게가 붐빈다. |
クリスマスが繁忙期なので店が混んでいる。 | |
・ | 대목을 놓치지 마세요. |
書き入れ時を逃さないでください。 | |
・ | 명절마다 시장은 대목을 맞는다. |
祝日ごとに市場は繁忙期を迎える。 | |
・ | 대목에는 물건이 잘 팔린다. |
書き入れ時には物がよく売れる。 | |
・ | 대목이 지나면 손님이 줄어든다. |
書き入れ時が過ぎると客が減る。 |
시황(市況) > |
재정 정책(財政政策) > |
국가재정(国家財政) > |
엔저(円安) > |
발전(発展) > |
한국은행(韓国銀行) > |
경상수지(経常収支) > |
급매(急いで売るもの) > |
공급망(サプライチェーン) > |
보합세(持ち合い相場) > |
번영하다(繁栄する) > |
통계(統計) > |
확정 신고(確定申告) > |
물물교환(物物交換) > |
매수하다(買収する) > |
디플레(デフレ) > |
경기가 풀리다(景気がよくなる) > |
희소가치(希少価値) > |
호조(好調) > |
경제 협력(経済協力) > |
과잉 유동성(過剰流動性) > |
공공투자(公共投資) > |
경제(経済) > |
기저 효과(基底效果) > |
하한가(ストップ安) > |
경제 대국(経済大国) > |
조세 회피처(タックスヘイブン) > |
대공황(大恐慌) > |
보유세(保有稅) > |
인민폐(人民元)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