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修交」は韓国語で「수교」という。
|
![]() |
・ | 독일과 수교 조약을 맺다. |
ドイツと修好条約を結ぶ。 | |
・ | 양국 수교의 성과는 쉽게 얻어진 것이 아닌 만큼 소중히 해야 한다. |
両国の国交正常化の成果は、簡単に得られたわけではないため大切にしなければならない。 | |
・ | 중국과 한국은 수교 30주년을 맞아 양국 관계의 미래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
中国と韓国は国交正常化30周年を迎えるにあたり、両国関係の未来の発展の方法を模索している。 | |
・ | 현수교가 바람에 흔들흔들 흔들려서 무섭다. |
吊り橋が風でゆらゆらと揺れるので怖い。 | |
・ | 한국과 중국이 수교 25주년을 맞이했다. |
韓国と中国が国交を正常化して25年を迎えた。 | |
・ | 한일 관계는 현재 수교 이래 최악의 냉각기에 들어간 상태다. |
日韓関係は現在、国交正常化以来最悪の冷却期に入った状態だ。 | |
・ | 2018년은 한국 베트남 수교 25주년을 맞는다. |
2018年は韓国・ベトナム修交25周年を迎える。 | |
・ | 양국은 서로 적대적인 관계를 극복하고 수교했다. |
互いに敵対的な関係を克服して国交正常化を成し遂げた。 |
韓国語(発音) | 日本語 |
---|---|
현수교(ヒョンスギョ) | つり橋 |
수교하다(スギョハダ) | 修交する、国交正常化する |
신흥국(新興国) > |
치외 법권(治外法権) > |
이웃 나라(隣国) > |
북핵 문제(北核問題) > |
평화(平和) > |
핵실험(核実験) > |
에스닉(エスニック) > |
민간 교류(民間交流) > |
조기 귀국(早期帰国) > |
다국간협정(多国間協定) > |
이중 국적(二重国籍) > |
국제연맹(国際連盟) > |
유엔 안보리(国連安保理) > |
열강(列強) > |
국제 분쟁(国際紛争) > |
미국계(アメリカ系) > |
국제 협력(国際協力) > |
원조국(援助国) > |
외교 특권(外交特権) > |
회원국(会員国) > |
협상단(交渉団) > |
유엔 총회(国連総会) > |
국방의 의무(国防の義務) > |
조총련(朝鮮総連) > |
외국(外国) > |
강대국(強大国) > |
가공 무역(加工貿易) > |
자유항(無関税港) > |
태양정책(太陽政策) > |
상임 이사국(常任理事国)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