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修交」は韓国語で「수교」という。
|
![]() |
・ | 독일과 수교 조약을 맺다. |
ドイツと修好条約を結ぶ。 | |
・ | 양국 수교의 성과는 쉽게 얻어진 것이 아닌 만큼 소중히 해야 한다. |
両国の国交正常化の成果は、簡単に得られたわけではないため大切にしなければならない。 | |
・ | 중국과 한국은 수교 30주년을 맞아 양국 관계의 미래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
中国と韓国は国交正常化30周年を迎えるにあたり、両国関係の未来の発展の方法を模索している。 | |
・ | 현수교가 바람에 흔들흔들 흔들려서 무섭다. |
吊り橋が風でゆらゆらと揺れるので怖い。 | |
・ | 한국과 중국이 수교 25주년을 맞이했다. |
韓国と中国が国交を正常化して25年を迎えた。 | |
・ | 한일 관계는 현재 수교 이래 최악의 냉각기에 들어간 상태다. |
日韓関係は現在、国交正常化以来最悪の冷却期に入った状態だ。 | |
・ | 2018년은 한국 베트남 수교 25주년을 맞는다. |
2018年は韓国・ベトナム修交25周年を迎える。 | |
・ | 양국은 서로 적대적인 관계를 극복하고 수교했다. |
互いに敵対的な関係を克服して国交正常化を成し遂げた。 |
韓国語(発音) | 日本語 |
---|---|
현수교(ヒョンスギョ) | つり橋 |
수교하다(スギョハダ) | 修交する、国交正常化する |
민간 교류(民間交流) > |
동시 통역자(同時通訳者) > |
납치 문제(拉致問題) > |
국제화(国際化) > |
조약(条約) > |
탈레반(タリバン) > |
영토 문제(領土問題) > |
민족 분쟁(民族紛争) > |
영사관(領事館) > |
데탕트(デタント) > |
에스닉(エスニック) > |
사절단(使節団) > |
이웃 나라(隣国) > |
욱일기(旭日旗) > |
이중 국적(二重国籍) > |
수교(修交) > |
국제회의(国際会議) > |
승전국(戦勝国) > |
귀화(帰化) > |
다국적(多国籍) > |
삼팔선(38度線) > |
국제연맹(国際連盟) > |
협정(協定) > |
치외 법권(治外法権) > |
밀입국(密入国) > |
순방(歴訪) > |
우방(友邦) > |
약소국(弱小国) > |
외국(外国) > |
미주 기구(米州機構)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