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失政」は韓国語で「실정」という。
|
![]() |
・ | 정부의 실정을 비판하는 것은 정당한 것이다. |
政府の失政を批判するのは正当なことだ。 | |
・ | 미온적 개혁과 연이은 실정으로 민중의 지지를 잃었다. |
生ぬるい改革と相次ぐ失政で民衆の支持を失った。 | |
・ | 대통령이 펴온 경제정책은 실정에 가깝다. |
大統領が行ってきた経済政策は失政に近い。 | |
・ | 많은 중소기업에서는 사원 교육까지 좀처럼 손길이 미치치 않는 것이 실정이다. |
多くの中小企業では、社員教育までなかなか手が回らないのが実情である。 | |
・ | 많은 중소기업에서는 사원 교육까지 좀처럼 손길이 미치치 않는 것이 실정이다. |
多くの中小企業では、社員教育までなかなか手が回らないのが実情である。 | |
・ | 매출액도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
売上高も横ばいのままというのが実情でございます。 | |
・ | 지역의 실정을 무시하다. |
地域の実情を無視する。 | |
・ | 현재의 실정을 취재했습니다. |
現地の実情を取材しました。 | |
・ | 피해지의 실정을 조사하다. |
被災地の実情を調査する。 | |
・ | 후보지는 아직도 결정되지 않고 있는 실정입니다. |
候補地はいまだに決まっていない実情です。 | |
・ | 증가하는 아이들에 대한 성적 학대 실정을 보면, 이외로 친아빠가 많다. |
増加する子どもへの性的虐待の実情を見てみると、意外にも“実父”が多い。 | |
・ | 실정법 적용이 어렵다. |
実定法の適用が困難だ。 |
韓国語(発音) | 日本語 |
---|---|
실정법(シルッチョンッポプ) | 実定法 |
대사(大使) > |
친정 체제(側近重用体制) > |
비자금(裏金) > |
공천하다(候補者を公認する) > |
하급 공무원(下級公務員) > |
민심(民心) > |
시민 의식(市民意識) > |
종북(従北) > |
지배자(支配者) > |
폭군(暴君) > |
재선거(再選挙) > |
패착(敗着) > |
연립 정부(連立政府) > |
총통(総統) > |
항쟁(抗争) > |
정상(首脳) > |
권력자(権力者) > |
불법 시위(不法デモ) > |
독재 정권(独裁政権) > |
투표하다(投票する) > |
규제 강화(規制強化) > |
찬성(賛成) > |
티비(テレビ) > |
남북 관계(南北関係) > |
실각(失脚) > |
개혁안(改革案) > |
보좌관(補佐官) > |
무국적(無国籍) > |
선동(扇動) > |
자국민(自国民)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