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実情」は韓国語で「실정」という。
|
![]() |
・ | 후보지는 아직도 결정되지 않고 있는 실정입니다. |
候補地はいまだに決まっていない実情です。 | |
・ | 피해지의 실정을 조사하다. |
被災地の実情を調査する。 | |
・ | 현재의 실정을 취재했습니다. |
現地の実情を取材しました。 | |
・ | 지역의 실정을 무시하다. |
地域の実情を無視する。 | |
・ | 매출액도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
売上高も横ばいのままというのが実情でございます。 | |
・ | 많은 중소기업에서는 사원 교육까지 좀처럼 손길이 미치치 않는 것이 실정이다. |
多くの中小企業では、社員教育までなかなか手が回らないのが実情である。 | |
・ | 많은 중소기업에서는 사원 교육까지 좀처럼 손길이 미치치 않는 것이 실정이다. |
多くの中小企業では、社員教育までなかなか手が回らないのが実情である。 | |
・ | 대통령이 펴온 경제정책은 실정에 가깝다. |
大統領が行ってきた経済政策は失政に近い。 | |
・ | 미온적 개혁과 연이은 실정으로 민중의 지지를 잃었다. |
生ぬるい改革と相次ぐ失政で民衆の支持を失った。 | |
・ | 정부의 실정을 비판하는 것은 정당한 것이다. |
政府の失政を批判するのは正当なことだ。 | |
・ | 증가하는 아이들에 대한 성적 학대 실정을 보면, 이외로 친아빠가 많다. |
増加する子どもへの性的虐待の実情を見てみると、意外にも“実父”が多い。 | |
・ | 실정법 적용이 어렵다. |
実定法の適用が困難だ。 |
韓国語(発音) | 日本語 |
---|---|
실정법(シルッチョンッポプ) | 実定法 |
중노동(重労働) > |
어폐(語弊) > |
극단(劇団) > |
성장통(成長痛) > |
재설정(再設定) > |
월급봉투(給料袋) > |
임명장(任命状) > |
단식 경기(シングルス) > |
풍요(豊かさ) > |
유아용품(ベビー用品) > |
가늠(ねらい) > |
반란군(反乱軍) > |
의외(意外) > |
고점(高点) > |
감정싸움(感情のもつれ) > |
지적 수준(知的水準) > |
호프집(ビヤホール) > |
정체성(アイデンティティ) > |
습자(習字) > |
심기(ご機嫌) > |
연비(燃費) > |
흠(あら) > |
바깥출입(外出) > |
실질상(実質上) > |
특기(特技) > |
엇갈림(すれ違い) > |
꿀물(蜜水) > |
아무 데(どこ) > |
호불호(好き嫌い) > |
득표(得票)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