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解放」は韓国語で「해방」という。
|
![]() |
・ | 해방 뒤에도 많은 재일조선인은 한반도에 돌아갈 곳이 없는 딱한 처지였다. |
解放後も多くの在日朝鮮人は朝鮮半島に帰る場所がないという苦しい境遇だった。 | |
・ | 비상하는 순간 모든 것이 해방된 것 같았습니다. |
飛翔する瞬間に、すべてが解放された気がした。 | |
・ | 세상을 뜬다는 것은 모든 고통에서 해방되는 일이기도 하다. |
世を去るということは、すべての苦しみから解放されることでもある。 | |
・ | 큰 소리로 외치면 해방감을 얻을 수 있다. |
大声で叫ぶと解放感が得られる。 | |
・ | 자연에서 휴식을 취하면 해방감을 느낄 수 있다. |
自然の中でリラックスすると解放感が感じられる。 | |
・ | 과제를 모두 마치고 해방감을 얻었다. |
課題を全て終えて解放感を得た。 | |
・ | 여행 중 자유로운 해방감을 느꼈다. |
旅行中、自由な解放感を感じた。 | |
・ | 고민을 날려버리는 해방감을 맛보고 싶다. |
悩みを吹き飛ばすような解放感を味わいたい。 | |
・ | 넓은 초원에 서면 해방감을 느낀다. |
広い草原に立つと解放感を感じる。 | |
・ | 넓은 바다를 바라보면 해방감을 느낄 수 있다. |
広い海を眺めると解放感が得られる。 | |
・ | 자연 속에서 심호흡을 하면 해방감을 얻을 수 있다. |
自然の中で深呼吸すると解放感が得られる。 | |
韓国語(発音) | 日本語 |
---|---|
해방감(ヘバンガム) | 解放感 |
해방하다(ヘバンハダ) | 解き放す、解き放つ、解放する |
해방되다(ヘバンデダ) | 解放される |
통치권(統治権) > |
비례대표(比例代表) > |
표결하다(票決する) > |
금권 정치(金権政治) > |
상원(上院) > |
항쟁하다(抗争する) > |
주의(主義) > |
선민의식(選民意識) > |
공직 선거법(公職選挙法) > |
철권통치(鉄拳統治) > |
후보자(候補者) > |
항쟁(抗争) > |
전권(全権) > |
선관위(選挙管理委員会) > |
파워 인맥(パワー人脈) > |
국가 비상 사태(国家非常事態) > |
파벌(派閥) > |
실정(失政) > |
거부권(拒否権) > |
타도(打倒) > |
협치(協治) > |
자유주의(自由主義) > |
친북 반미(親北反米) > |
로비(ロビー) > |
대의명분(大義名分) > |
제재를 가하다(経済制裁を課す) > |
기명 투표(記名投票) > |
한국 정부(韓国政府) > |
정치 세력(政治勢力) > |
총통(総統)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