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公権力」は韓国語で「공권력」という。
|
![]() |
・ | 공권력을 행사하다. |
公権力を行使する。 | |
・ | 공권력이란, 국가 또는 공공단체가 지배권자로서 국민에 대해 갖고 있는 권력을 말한다. |
公権力とは、国家または公共団体が支配権者として国民に対してもっている権力をいう。 | |
・ | 공권력을 집행하다. |
公権力を執行する。 | |
・ | 공권력을 감시하다. |
公権力を監視する。 | |
・ | 공권력 행사에 의한 인권 침해에 대해 엄중히 책임을 묻다. |
公権力の行使による人権侵害にたいして厳しく責任を問う。 | |
・ | 공권력을 휘두르다. |
公権力を振りかざす。 | |
・ | 공권력을 휘둘러 보도 기관에 압력을 가하다. |
公権力を振りかざして報道機関に圧力をかける。 | |
・ | 공교육은 공공단체와 같은 공권력이 주체가 되어 진행하는 교육을 말한다. |
公教育は公共団体のような公権力の主体が行なう教育をいう。 |
돌파구(突破口) > |
시위대(デモ隊) > |
변절자(裏切り者) > |
임기(任期) > |
수상(首相) > |
반대파(反対派) > |
패권(覇権) > |
본회의(本会議) > |
현안(懸案) > |
권력자(権力者) > |
권력욕(権力欲) > |
친중정책(親中政策) > |
의회(議会) > |
대통령 후보(大統領候補) > |
조선노동당(朝鮮労働党) > |
권좌(権力の座) > |
대국민 담화(政府声明) > |
한국 정부(韓国政府) > |
친정 체제(側近重用体制) > |
원내 대표(院內代表) > |
국론 분열(国論分裂) > |
고위급(高位級) > |
투표율(投票率) > |
반일(反日) > |
이너써클(インナーサークル) > |
사회주의(社会主義) > |
정기국회(定期国会) > |
작위(爵位) > |
파시즘(ファシズム) > |
우경화(右傾化)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