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発言権」は韓国語で「발언권」という。
|
![]() |
・ | 발언권을 갖다. |
発言権を持つ。 | |
・ | 발언권을 얻다. |
発言権を得る。 | |
・ | 발언권을 부여하다. |
発言権を与える。 | |
・ | 강한 발언권을 갖게 되었다. |
強い発言権を有するようになった。 | |
・ | 강한 자에게만 발언권이 있고, 약한 자에게는 발언권이 없다. |
強い者しか発言権があって弱い者には発言権がない | |
・ | 주요 현안에서 책임 있는 역할을 해야 발언권이 커질 수 있다. |
主要な懸案として責任ある役割を果たしてこそ、発言権を強めることができる。 | |
・ | 공처가인 남편은 집에서 발언권이 없다. |
恐妻家の夫は家での発言権がない。 | |
・ | 그는 주주 총회에서의 발언권을 행사했습니다. |
彼は株主総会での発言権を行使しました。 |
형제의 난(兄弟争い) > |
뜰(庭) > |
입체적(立体的) > |
매립(埋め立て) > |
구제역(口蹄疫) > |
사투리(なまり) > |
적혈구(赤血球) > |
초본(抄本) > |
개활지(開豁地) > |
이질감(異質感) > |
공수(攻守) > |
속(中身) > |
인도적 지원(人道支援) > |
방한(訪韓) > |
최면(催眠) > |
유행병(疫病) > |
마력(馬力) > |
상대편(相手方) > |
총상(銃傷) > |
낙제생(落第生) > |
대의원(代議員) > |
초구(初球) > |
지협(地峽) > |
중위(中尉) > |
병원(病院) > |
퀵서비스(バイク便) > |
소대장(小隊長) > |
근현대사(近現代史) > |
대판(大きな規模) > |
격파(撃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