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なまり」は韓国語で「사투리」という。
|
![]() |
・ | 한국에는 지방에 따라 사투리가 있다. |
韓国には地方による方言がある。 | |
・ | 사투리가 심하다. |
方言が激しい。 | |
・ | 긴긴 서울 생활에도 경상도 사투리를 좀처럼 고쳐지지 않는다. |
長いソウル生活でも慶尚道方言がなかなか治らない。 | |
・ | 구어체 한국어를 마스터하고 싶은데, 사투리도 있어서 어려워! |
口語体の韓国語をマスターしたいけど、方言もあって難しい! | |
・ | 현지 사투리를 들으면 친근감이 생긴다. |
地元の方言を聞くと親近感が湧く。 | |
・ | 구수한 사투리를 구사하다. |
もっともらしい方言を駆使する。 | |
・ | 외국인에게 부산 사투리는 알아듣기 힘들다. |
外国人に釜山弁は聞き取りにくい。 | |
・ | 부산은 사투리 억양이 아주 강한 지역입니다. |
釜山は方言のイントネーションが強い地域です。 | |
・ | 돌하르방은 제주도 사투리로, 돌로 만든 할아버지를 가리킨다. |
石ハルバンは、済州島の方言で、石で作られたおじいちゃんのことをいう。 |
어휘력(語彙力) > |
가나다라(カナダラ) > |
영작문(英作文) > |
메타포(メタファー) > |
말더듬(どもり) > |
목적어(目的語) > |
중국어 회화(中国語会話) > |
모두(冒頭) > |
말뜻(言葉の意味) > |
반의어(対義語) > |
세로쓰기(縦書き) > |
일본말(日本語) > |
부가 설명(付加説明) > |
다국어(多言語) > |
니홍고(日本語) > |
아랍어(アラビア語) > |
문화어(北朝鮮の標準語) > |
예사소리(平音) > |
된소리(濃音) > |
영어 강사(英会話講師) > |
두문자(頭文字) > |
외국어를 유창하게 구사하다(外国語.. > |
부연 설명(おしひろめて説明すること.. > |
모국어(母国語) > |
겸양어(謙譲語) > |
느낌표(感嘆符) > |
말솜씨(話術) > |
말이 늘다(言葉が伸びる) > |
동의어(同意語) > |
독일어(ドイツ語)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