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なまり」は韓国語で「사투리」という。
|
![]() |
・ | 한국에는 지방에 따라 사투리가 있다. |
韓国には地方による方言がある。 | |
・ | 사투리가 심하다. |
方言が激しい。 | |
・ | 긴긴 서울 생활에도 경상도 사투리를 좀처럼 고쳐지지 않는다. |
長いソウル生活でも慶尚道方言がなかなか治らない。 | |
・ | 구어체 한국어를 마스터하고 싶은데, 사투리도 있어서 어려워! |
口語体の韓国語をマスターしたいけど、方言もあって難しい! | |
・ | 현지 사투리를 들으면 친근감이 생긴다. |
地元の方言を聞くと親近感が湧く。 | |
・ | 구수한 사투리를 구사하다. |
もっともらしい方言を駆使する。 | |
・ | 외국인에게 부산 사투리는 알아듣기 힘들다. |
外国人に釜山弁は聞き取りにくい。 | |
・ | 부산은 사투리 억양이 아주 강한 지역입니다. |
釜山は方言のイントネーションが強い地域です。 | |
・ | 돌하르방은 제주도 사투리로, 돌로 만든 할아버지를 가리킨다. |
石ハルバンは、済州島の方言で、石で作られたおじいちゃんのことをいう。 |
용어(用語) > |
유음(流音) > |
서강대학 한국어교육원(西江大学韓国.. > |
바른말(道理にかなう話) > |
비슷한말(類義語) > |
어구(語句) > |
공통어(共通語) > |
복합어(複合語) > |
국어(国語) > |
화법(話法) > |
야단나다(困ったことが起きる) > |
반어법(反語法) > |
통역사(通訳士) > |
반대말(反対語) > |
입담(話術) > |
순우리말(純韓国語) > |
사투리(なまり) > |
한양대학 국제어학원(漢陽大学 国際.. > |
모국어(母国語) > |
귀엣말(耳打ち) > |
국어 순화(国語純化) > |
예사소리(平音) > |
막말(決めつけた物言い) > |
말잔치(形式ばった表現) > |
파생어(派生語) > |
우리말(私たちの言葉) > |
쓰기(書き) > |
은어(隠語) > |
아랍어(アラビア語) > |
준말(略語)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