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述語」は韓国語で「술어」という。動詞や形容詞などをいう。
|
![]() |
・ | 술어는 주어의 움직임이나 모습, 상태를 설명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
述語は、主語の動きや様子・状態を説明する働きがあります。 | |
・ | 서술어는 문장의 끝에 오는 것이 보통입니다. |
述語は、文の終わりにくることがふつうです。 | |
・ | 주어와 서술어의 차이점은 무엇일까요? |
主語と述語の違いは何ですか? | |
・ | 한국어와 일본어는 목적어 다음에 서술어가 온다. |
韓国語と日本語は目的語の次に述語が来る。 | |
・ | 수식어와 서술어의 차이를 모르겠습니다. |
修飾語と述語の違いがわかりません。 | |
・ | 주어도 서술어도 아닌 부분이 수식어입니다. |
主語でも述語でもない部分が修飾語です。 | |
・ | 국어 문법 문제 중에 주어나 서술어를 찾는 문제가 있습니다. |
国語の文法問題の中に、主語や述語を見つける問題があります。 | |
・ | 주어와 서술어는 글을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이다. |
主語と述語は、文を構成する最も基本的な要素である。 | |
・ | 서술어는 주어를 설명하는 기능을 합니다. |
述語は、主語を説明する働きをします。 | |
・ | 트랜스유라시아어의 가장 큰 특징은 ‘목적어 다음에 서술어가 온다’는 것입니다. |
トランスユーラシア語の最大の特徴は、「目的語の次に述語が来る」ということです。 |
연세대학 한국어학당(延世大学韓国語.. > |
공통어(共通語) > |
문화어(北朝鮮の標準語) > |
번역기(翻訳機) > |
영어 강사(英会話講師) > |
외국어를 유창하게 구사하다(外国語.. > |
어휘(語彙) > |
존댓말(尊敬語) > |
반대말(反対語) > |
ㄹ탈락(ㄹ 脱落) > |
절(節) > |
공용어(公用語) > |
어절(語節) > |
몽골어(モンゴル語) > |
어휘력(語彙力) > |
어투(話しぶり) > |
은어(隠語) > |
준말(略語) > |
입담(話術) > |
금칙어(禁句) > |
문어체(文語体) > |
말이 늘다(言葉が伸びる) > |
구어체(口語体) > |
케이페디아(韓国語辞書) > |
복합어(複合語) > |
방언(方言) > |
훈민정음(訓民正音) > |
중국어 회화(中国語会話) > |
오자(誤字) > |
한마디(一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