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耐震」は韓国語で「내진」という。
|
![]() |
・ | 내진 기준을 채우지 않는 호텔이 건설된 것이 발각되었다. |
耐震基準を満たさないホテルが建設されていたことが発覚された。 | |
・ | 내진이나 원전의 안전성에 대해 다시 검토하려는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다 |
耐震や原発の安全性について見直そうという空気が高まりつつある。 | |
・ | 건물의 내진 보강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
建物の耐震補強が行われています。 | |
・ | 그 마을에서는 공물로 특산물이 자주 보내진다. |
その町では貢物として特産品が送られることが多い。 | |
・ | 매립지에 건설된 시설은 내진성이 요구됩니다. |
埋立地に建てられた施設は、耐震性が求められます。 | |
・ | 주민세 납부서는 매년 보내진다. |
住民税の納付書は毎年送られてくる。 | |
・ | 심장에서 보내진 혈액은 전신을 순환한 후에 폐로 돌아옵니다. |
心臓から送り出された血液は全身をめぐってから肺に戻ってきます。 | |
・ | 원자력 발전소 설계에는 내진성이 중시되고 있습니다. |
原子力発電所の設計には、耐震性が重視されています。 | |
・ | 내진성이 높은 건자재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
耐震性の高い建材を使用することが重要だ。 | |
・ | 건축사가 내진성을 고려한 설계를 했다. |
建築士が耐震性を考慮した設計をした。 | |
・ | 그 빌딩은 내진 구조로 건조되었다. |
そのビルは耐震構造で建造された。 | |
・ | 노후한 건물은 내진성이 낮다. |
老朽な建物は耐震性が低い。 | |
・ | 철근 사용은 건물의 내진성을 높입니다. |
鉄筋の使用は建物の耐震性を高めます。 | |
입주자(入居者) > |
임대(賃貸) > |
지반(地盤) > |
부동산 투자(不動産投資) > |
지장물(支障物) > |
경매에 부치다(競売にかける) > |
주택가(住宅街) > |
옥탑방(屋根裏部屋) > |
기부 채납(寄付採納) > |
중개료(仲介料) > |
공실(空室) > |
취득세(取得税) > |
시세 차익(転売差益) > |
수주하다(受注する) > |
등기권리증(登記済権利証) > |
유산 분할(遺産分割) > |
토지대장(土地台帳) > |
초가삼간(三間の草屋) > |
측량(測量) > |
개발 계획(開発計画) > |
정지 작업(整地作業) > |
가택(家宅) > |
건축(建築) > |
건설되다(建設される) > |
공동주택(集合住宅) > |
부동산 임대업(不動産賃貸業) > |
방값(部屋代) > |
건립(建立) > |
리모델링(リフォーム) > |
빌딩을 세우다(ビルを建てる)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