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親権者」は韓国語で「친권자」という。
|
![]() |
【話せる韓国語】家族構成に関するフレーズ37選!
・ | 친권을 행사하는 자를 친권자라고 부릅니다. |
親権を行う者を親権者といいます。 | |
・ | 이혼 후 아이의 친권자를 아버지인지 어머니인지 정한다. |
離婚後の子どもの親権者を父親か母親か決める。 | |
・ | 수입이 적어도 친권자가 될 수 있습니까? |
収入が少なくても親権者となることができますか? | |
・ | 미성년 자식이 있는 경우, 이혼할 때에 부부의 어느 쪽이 친권자가 될지 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
未成年の子どもがいる場合、離婚するときに、夫婦のどちらが親権者になるのか決める必要があります。 | |
・ | 친권자는 자녀의 생활환경을 개선할 책임이 있다. |
親権者は、子供の生活環境を改善する責任がある。 | |
・ | 친권자는 자녀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 행동할 의무가 있다. |
親権者は、子供の安全を守るために行動する義務がある。 | |
・ | 친권자는 자녀의 건강상태를 관리할 의무가 있다. |
親権者は、子供の健康状態を管理する義務がある。 | |
・ | 친권자는 자녀의 교육을 결정할 권한을 가진다. |
親権者は、子供の教育を決定する権限を持つ。 | |
・ | 친권자는 자녀의 진로를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
親権者は、子供の進路を決める重要な役割を果たす。 | |
・ | 신청 시점에 20살 미만인 분은 친권자의 동의서가 필요합니다. |
お申し込み時点で20歳未満の方は、親権者の同意書が必要です。 | |
・ | 이혼을 해도 친권자가 아니라도 부모는 미성년을 양육할 의무가 있습니다. |
離婚をしても、親権者でなくても、親は未成年を養育する義務があります。 |
남편(夫) > |
화목한 가정(仲むつまじい家庭) > |
맏언니(一番上の姉) > |
증조모(曾祖母) > |
부부지간(夫婦の仲) > |
증손녀(女のひ孫) > |
유복자(忘れ形見) > |
형님(兄貴) > |
시조(元祖) > |
갓난아기(赤ん坊) > |
가정(家庭) > |
가문(家門) > |
누나(お姉さん) > |
친자식(実の子) > |
외아들(一人息子) > |
혈육(血縁) > |
오빠(お兄さん) > |
일부일처제(一夫一婦制) > |
내연의 처(内縁の妻) > |
양아버지(養父) > |
장녀(長女) > |
막내아들(末息子) > |
가장(家長) > |
큰아들(長男) > |
친정엄마(妻の実家の母親) > |
친자매(実の姉妹) > |
양녀(養女) > |
새어머니(継母) > |
친손녀(息子の娘) > |
식솔(家族)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