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輸出入」は韓国語で「수출입」という。
|
![]() |
・ | 그는 일본과 한국 간의 상품을 수출입하는 무역상이다. |
彼は日本と韓国の間で商品を輸出入している貿易商だ。 | |
・ | 이 무역상은 주로 전자기기의 수출입을 하고 있다. |
この貿易商は、主に電子機器の輸出入を行っている。 | |
・ | 무역상은 수출입 계약을 체결할 때 법률과 규제를 준수할 필요가 있다. |
貿易商は、輸出入の契約を結ぶ際に法律や規制を遵守する必要がある。 | |
・ | 이 상사는 수출입에 강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
この商社は輸出入に強みを持っています。 | |
・ | 저희는 무역회사로서 다양한 제품을 수출입하고 있습니다. |
当社は貿易会社として、様々な製品を輸出入しております。 | |
・ | 통관 절차는 화물 수출입에 빼놓을 수 없다. |
通関手続きは貨物の輸出入に欠かせない。 |
韓国語(発音) | 日本語 |
---|---|
수출입을 금지하다(スチュリブルクムジハダ) | 輸出入を禁止する |
무역 수지(貿易収支) > |
저소득층(低所得層) > |
덤핑(ダンピング) > |
인플레이션(インフレ) > |
가공 무역(加工貿易) > |
전자 거래(電子取引) > |
무역(貿易) > |
세금(税金) > |
직접 투자(直接投資) > |
민영(民営) > |
선을 회복하다(~ラインを回復する) > |
급성장하다(急成長する) > |
과잉 유동성(過剰流動性) > |
추경 예산(追更予算) > |
임시 주총(臨時株総) > |
경제 대국(経済大国) > |
감세(減税) > |
실익(実益) > |
호조(好調) > |
통상하다(通商する) > |
경기가 풀리다(景気がよくなる) > |
과당 경쟁(過当競争) > |
신협(信用協同組合) > |
초이노믹스(チョイノミクス) > |
통관(通関) > |
자유 방임주의(自由放任主義) > |
기저 효과(基底效果) > |
상표권(商標権) > |
이익을 낳다(利益を生む) > |
동행 지수(一致指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