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悲観論」は韓国語で「비관론」という。
|
![]() |
・ | 비관론자는 모든 기회로부터 어려움을 찾아낸다. |
悲観論者はすべての機会から困難を探す。 | |
・ | 그는 비관론을 주장하고 있다. |
彼は悲観論を唱えている。 | |
・ | 비관론은 종종 현실적이다. |
悲観論はしばしば現実的だ。 | |
・ | 비관론에 대해 반론하다. |
悲観論に対して反論する。 | |
・ | 그의 발언은 비관론적이다. |
彼の発言は悲観論的だ。 | |
・ | 비관론에 근거한 예측이 나오고 있다. |
悲観論に基づいた予測が出ている。 | |
・ | 비관론이 사회에 퍼지고 있다. |
悲観論が社会に広まっている。 | |
・ | 비관론에 휩쓸리지 않고 냉정하게 생각하다. |
悲観論に流されず冷静に考える。 | |
・ | 그녀는 비관론을 부정했다. |
彼女は悲観論を否定した。 | |
・ | 비관론적인 의견이 많다. |
悲観論的な意見が多い。 | |
・ | 비관론에 반하여 낙관적인 전망을 가진다. |
悲観論に反して楽観的な見通しを持つ。 | |
・ | 비관론에 빠지지 않도록 하다. |
悲観論に陥らないようにする。 | |
・ | 비관론을 지지하는 목소리가 많다. |
悲観論を支持する声が多い。 | |
・ | 비관론을 지지하는 목소리가 많다. |
悲観論を支持する声が多い。 | |
・ | 비관론을 참고하되 긍정적으로 나아간다. |
悲観論を参考にするが、前向きに進む。 | |
・ | 비관론과 낙관론의 균형을 맞추다. |
悲観論と楽観論のバランスを取る。 | |
・ | 비관론을 수용하면서 건설적으로 생각한다. |
悲観論を受け入れつつ、建設的に考える。 | |
・ | 비관론에 맞서는 힘을 기르다. |
悲観論に立ち向かう力を養う。 | |
・ | 비관론을 극복하기 위해 협력하다. |
悲観論を乗り越えるために協力する。 | |
・ | 비관론이 확산되는 원인을 분석하다. |
悲観論が広まる原因を分析する。 | |
・ | 역사적으로 거품 붕괴는 비관론자들이 예상보다 훨씬 더 늦게 나타났다. |
歴史的にバブル崩壊は悲観論者たちの予想より遅く現れた。 |
韓国語(発音) | 日本語 |
---|---|
비관론자(ピグァンノンジャ) | 悲観論者、悲観主義者、ペシミスト |
봉급(俸給) > |
손목시계(腕時計) > |
대신(代わり) > |
화학(化学) > |
농촌(農村) > |
웃음바다(笑いの渦) > |
상당폭(大幅) > |
신속 대응(迅速対応) > |
바위산(岩山) > |
애주가(酒好き) > |
성량(声量) > |
냉동육(冷凍肉) > |
점심때(昼食時) > |
전문과(専門科) > |
호평(好評) > |
접근(接近) > |
각도(角度) > |
인정(人情) > |
판다(パンダ) > |
긴급 상황(緊急な状況) > |
직행(直行) > |
검사기(検査機) > |
지적 수준(知的水準) > |
귀싸대기(びんた) > |
열병(熱病) > |
봉건주의(封建主義) > |
생체(生体) > |
고령(高齢) > |
재충전(リフレッシュ) > |
속도위반(スピード違反)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