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遊牧民」は韓国語で「유목민」という。
|
![]() |
・ | 그때 이후 나는 마치 유목민처럼 살아 왔습니다. |
それ以来、私はまるで遊牧民のように暮らしてきました。 | |
・ | 몽골의 유목민 마을에 가서 말을 탄 적이 있다. |
モンゴル遊牧民の村に行って馬に乗ったことがある。 | |
・ | 유목민은 계절에 따라 초원을 이동합니다. |
遊牧民は季節に応じて草原を移動します。 | |
・ | 유목민은 가축을 사육하고 그 주위에서 이동합니다. |
遊牧民は家畜を飼育し、その周りで移動します。 | |
・ | 유목민족은 전통적인 생활양식을 지키면서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
遊牧の民族は伝統的な生活様式を守りながら、新しい技術を取り入れています。 | |
・ | 유목민들은 초원 지대에서의 어려운 환경에 적응하고 있습니다. |
遊牧の人々は草原地帯での厳しい環境に適応しています。 | |
・ | 유목민은 동물 무리를 키우고 그에 따라 이동합니다. |
遊牧民は動物の群れを育て、それに従って移動します。 | |
・ | 유목민들은 이동 중에 텐트나 가설 주거를 구축합니다. |
遊牧の人々は移動中にテントや仮設の住居を構築します。 | |
・ | 유목민들은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생활하고 있습니다. |
遊牧の人々は自然と調和しながら生活しています。 | |
・ | 칭기스칸은 변방의 유목민을 이끌고 그리스 알렉산더 대왕을 뛰어넘는 대제국을 건설했다. |
チンギス・カンは、辺境の遊牧民を率いてギリシャのアレキサンダー大王を超える大帝国を建設した。 | |
・ | 오릭스는 유목민에 의해 사육되기도 한다. |
オリックスは遊牧民によって飼育されることもある。 | |
・ | 중앙아시아의 일부 지역에서는 아직도 유목민의 생활양식을 볼 수 있습니다. |
中央アジアの一部の地域では、未だに遊牧民の生活様式が見られます。 | |
・ | 몽골에는 유목민족이 살고 있어요. |
モンゴルには遊牧民族が住んでいます。 |
길몽(縁起のよい夢) > |
국가(国歌) > |
참석자(参加者) > |
독소조항(毒素条項) > |
성자(聖人) > |
무한대(無限大) > |
안전핀(安全ピン) > |
소기(所期) > |
구별하다(区別する) > |
보면대(譜面台) > |
해지하다(解約する) > |
빨간불(赤信号) > |
홀몸(独り身) > |
상비약(常備薬) > |
조석(朝夕) > |
타이베이(台北) > |
기로(岐路) > |
급속충전(急速充電) > |
오염수(汚染水) > |
보상금(補償金) > |
고평가(過大評価) > |
전기 공학(電気工学) > |
규탄(糾弾) > |
지적(知的) > |
정전기(静電気) > |
신앙(信仰) > |
유동성(流動性) > |
기타(ギター) > |
불편(不便) > |
그림일기(絵日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