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遊牧」は韓国語で「유목」という。
|
![]() |
・ | 유목 사회는 종종 공동체 정신을 중시합니다. |
遊牧社会はしばしば共同体の精神を重視します。 | |
・ | 유목 문화는 초원이나 사막 지대에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
遊牧の文化は草原や砂漠地帯に根ざしています。 | |
・ | 유목 민족은 자연환경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
遊牧の民族は自然環境を大切にしています。 | |
・ | 유목 생활은 가족과 공동체의 결속을 강화합니다. |
遊牧の生活は家族や共同体の結束を強めます。 | |
・ | 유목 생활은 협력과 공동체의 도움에 의해 유지되고 있습니다. |
遊牧の生活は家族や共同体の結束を強めます。 | |
・ | 유목 생활은 계절과 기후의 변화에 맞춰 변화합니다. |
遊牧の生活は季節や気候の変化に合わせて変化します。 | |
・ | 유목 민족은 말을 이용하여 광대한 지역을 탐험합니다. |
遊牧の民族は馬を利用して広大な地域を探検します。 | |
・ | 칭기스칸은 변방의 유목민을 이끌고 그리스 알렉산더 대왕을 뛰어넘는 대제국을 건설했다. |
チンギス・カンは、辺境の遊牧民を率いてギリシャのアレキサンダー大王を超える大帝国を建設した。 | |
・ | 오릭스는 유목민에 의해 사육되기도 한다. |
オリックスは遊牧民によって飼育されることもある。 | |
・ | 유목민들은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생활하고 있습니다. |
遊牧の人々は自然と調和しながら生活しています。 | |
・ | 유목민들은 이동 중에 텐트나 가설 주거를 구축합니다. |
遊牧の人々は移動中にテントや仮設の住居を構築します。 | |
・ | 유목민은 동물 무리를 키우고 그에 따라 이동합니다. |
遊牧民は動物の群れを育て、それに従って移動します。 | |
・ | 유목민들은 초원 지대에서의 어려운 환경에 적응하고 있습니다. |
遊牧の人々は草原地帯での厳しい環境に適応しています。 | |
・ | 유목민족은 전통적인 생활양식을 지키면서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
遊牧の民族は伝統的な生活様式を守りながら、新しい技術を取り入れています。 | |
・ | 유목민은 가축을 사육하고 그 주위에서 이동합니다. |
遊牧民は家畜を飼育し、その周りで移動します。 | |
・ | 유목민은 계절에 따라 초원을 이동합니다. |
遊牧民は季節に応じて草原を移動します。 | |
・ | 몽골의 유목민 마을에 가서 말을 탄 적이 있다. |
モンゴル遊牧民の村に行って馬に乗ったことがある。 | |
韓国語(発音) | 日本語 |
---|---|
유목민(ユモンミン) | 遊牧民 |
농작물을 재배하다(農作物を栽培する.. > |
작물(作物) > |
기우제(雨ごいの祭り) > |
농산품(農産品) > |
유목(遊牧) > |
제초제(除草剤) > |
밭(畑) > |
추수(秋の取り入れ) > |
가을걷이(秋の取り入れ) > |
예초기(草刈り機) > |
비료(肥料) > |
농장주(農場主) > |
농사일(農作業) > |
벼 이삭(稲穂) > |
갈퀴(熊手) > |
탈곡하다(脱穀する) > |
매다(草取りをする) > |
곳간(米蔵) > |
곡창(穀倉) > |
콤바인(コンバイン) > |
농원(農園) > |
농촌 지역(農村地域) > |
옥토(沃土) > |
용수(用水) > |
허수아비(かかし) > |
밭농사(畑作) > |
갈다(耕す) > |
논밭(田畑) > |
농악대(農楽隊) > |
채소밭(野菜畑)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