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不足分」は韓国語で「부족분」という。
|
![]() |
・ | 부족분을 메우다. |
不足分を補う。 | |
・ | 부족분을 채우다. |
不足分を足す。 | |
・ | 돌아온 우편물에 부족분의 우표를 붙였다. |
かえってきた郵便物に不足分の切手を貼った。 | |
・ | 보강이란, 수업의 진행 상황이나 휴강 등에 의한 부족분을 조정하기 위해 진행되는 수업을 말한다. |
補講とは、授業の進行状況や休講等による不足分を調整するために行われる授業を指します。 |
간석지(干潟地) > |
적도(赤道) > |
디지털 미디어(デジタルメディア) > |
기타 등등(他等々) > |
첩(妾) > |
가다랭이(カツオ) > |
치욕적(恥辱的) > |
고마움(ありがたみ) > |
대폿집(居酒屋) > |
안정장치(安全装置) > |
가정(家庭) > |
석패(惜敗) > |
육계장(ユッケジャン) > |
매트리스(マットレス) > |
실무진(実務担当チーム) > |
단기 계약(短期契約) > |
단열(断熱) > |
외면(外面) > |
음미되다(吟味される) > |
재발급(再発給) > |
근방(近所) > |
하소연(哀訴) > |
은거(隠居) > |
적기(敵旗) > |
직업 윤리(職業倫理) > |
희소식(嬉しい知らせ) > |
총구(銃口) > |
중급(中級) > |
우편물(郵便物) > |
조롱(あざけり)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