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暴政」は韓国語で「폭정」という。
|
![]() |
・ | 권력의 제한을 일체 동반하지 않는 독재는, 늘 폭정으로 변질해 간다. |
権力の制限を一切伴わない独裁は、暴政へと常に変質していく。 | |
・ | 독재는 폭정과 달리, 자기를 정당화하는 정치 이론과 사상을 갖는다. |
独裁は暴政とは異なり、自己を正当化する政治理論・思想を持つ。 | |
・ | 폭정을 통탄하는 유서를 남기고 세상을 떴다. |
暴政を痛嘆する遺書を残して世を去った。 |
선정(善政) > |
제재(制裁) > |
책략(策略) > |
보은 인사(恩返しの人事) > |
여소야대(与小野大) > |
결의문(決議文) > |
외교하다(外交する) > |
법안(法案) > |
문민 통제(文民統制) > |
치하(統治下) > |
정계(政界) > |
대국민 담화(政府声明) > |
소수민족(少数民族) > |
비대위(非常対策委員会) > |
체제 전복(体制転覆) > |
첩보원(スパイ) > |
국회의원(国会議員) > |
위정자(為政者) > |
하야(官職を辞めること) > |
선거철(選挙シーズン) > |
독재국가(独裁国家) > |
개각(内閣改造) > |
마라톤 협상(マラソン会談) > |
지역 기반(地域基盤) > |
뒷거래(裏取引) > |
육이오 전쟁(朝鮮戦争) > |
뇌물 수수(贈収賄) > |
정략(政略) > |
불출마(不出馬) > |
출정식(立ち上げ式)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