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冷戦」は韓国語で「냉전」という。
|
![]() |
・ | 소비에트 제국이 붕괴되어 미소 냉전이 종결되었다. |
ソビエト帝国が崩壊し、米ソ冷戦が終結した。 | |
・ | 제2차대전 이후 미국을 맹주로 하는 자본주의 진영과 소련을 맹주로 하는 사회주의 진영과의 대립 구조를 냉전이라 한다. |
第二次世界大戦後アメリカを盟主とする資本主義陣営とソ連を盟主とする社会主義陣営との対立構造を冷戦という。 | |
・ | 냉전 시대에는 미소 간의 긴장이 고조되었습니다. |
冷戦時代には、米ソ間の緊張が高まりました。 | |
・ | 냉전 종식 후 세계는 큰 변화를 겪었습니다. |
冷戦の終結後、世界は大きな変化を経験しました。 | |
・ | 냉전 중 세계는 동서의 대립에 의해 양분되었습니다. |
冷戦中、世界は東西の対立によって二分されました。 | |
・ | 냉전 시대에는 핵무기의 위협이 항상 존재했습니다. |
冷戦時代には、核兵器の脅威が常に存在しました。 | |
・ | 냉전의 영향 아래에서 많은 나라들이 동맹을 결성했습니다. |
冷戦の影響下で、多くの国が同盟を結成しました。 | |
・ | 냉전기에는 군사적인 경쟁이 일상적이었습니다. |
冷戦期には、軍事的な競争が日常的でした。 | |
・ | 냉전 중에는 스파이 활동이 빈번했습니다. |
冷戦中、スパイ活動が頻繁に行われました。 | |
・ | 냉전이 끝나자 새로운 지정학적 질서가 생겨났습니다. |
冷戦が終わると、新たな地政学的な秩序が生まれました。 | |
・ | 냉전 기간 동안 정치적 긴장이 국제 사회를 지배했습니다. |
冷戦の間、政治的な緊張が国際社会を支配しました。 | |
・ | 냉전시대에는 서방국가와 소련의 군비 확장 경쟁이 벌어졌다. |
冷戦時代には、西側諸国とソ連の軍備拡張競争が繰り広げられた。 | |
・ | 미국과 소련이 대립하던 냉전 시절 남북한은 치열한 체제 대결을 벌였다. |
米国とソ連が対立していた冷戦時代に、南北は熾烈な体制対決を繰り広げた。 | |
・ | 신냉전은 과거의 냉전과 마찬가지로 제국주의 국가 사이의 대결이다. |
新冷戦は過去の冷戦と同じように、帝国主義国家間の対決だ。 | |
・ | 한반도는 세계에서 유일하게 냉전 구조를 지속하고 있다. |
朝鮮半島は、世界で唯一、冷戦構造を引きずっている。 |
韓国語(発音) | 日本語 |
---|---|
신냉전(シンネンジョン) | 新冷戦 |
반전(反戦) > |
항복(降伏) > |
국방비(国防費) > |
무인정찰기(無人偵察機) > |
계급(階級) > |
전운(戦雲) > |
병역 기피(兵役逃れ) > |
공격(攻撃) > |
활(弓) > |
보초(步哨) > |
총을 맞다(銃に撃たれる) > |
철군(撤軍) > |
핵 군축(核軍縮) > |
대전(大戦) > |
전투복(戦闘服) > |
기습(奇襲) > |
살육하다(殺戮する) > |
선제공격(先制攻撃) > |
첩보전(スパイ戦) > |
포병(砲兵) > |
장병(将兵) > |
다연장로켓(多連装ロケット) > |
병역 회피(兵役回避) > |
레이더(レイダー) > |
모병제(募兵制) > |
중대장(中隊長) > |
군바리(軍人・兵隊さん) > |
제해권(制海権) > |
민방위 훈련(民間防衛訓練) > |
공사(空軍士官学校)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