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郡長」は韓国語で「군수」という。
|
![]() |
・ | 연기군수 |
燕岐郡守 | |
・ | 병참 부대가 군수물자를 보급했다. |
兵站部隊が軍需物資を補給した。 | |
・ | 군수 산업은 때로는 국제적 갈등을 심화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
軍需産業は、時には国際的な対立を激化させる要因となることがあります。 | |
・ | 군수 산업은 국가의 전략적 이익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습니다. |
군수 산업의 확장은 군사적 힘을 나타내기 위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
・ | 평화 시기에는 군수 산업의 수요가 낮아질 수 있습니다. |
平和の時期には軍需産業の需要が低くなることがあります。 | |
・ | 군수 산업 기업들은 전시 중에 급격히 성장할 수 있습니다. |
軍需産業の企業は、戦時中に急激に成長することがあります。 | |
・ | 군수 산업 발전에는 국제적인 경쟁이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軍需産業の発展には、国際的な競争が影響を与えることがあります。 | |
・ | 군수 산업은 기술 혁신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
軍需産業は、技術革新を促進することがあります。 | |
・ | 군수 산업은 무기 수출을 통해 국가의 경제를 지원하기도 합니다. |
軍需産業は、兵器の輸出によって国の経済を支えることもあります。 | |
・ | 군수 산업이 강화되면, 국가의 군사력이 향상됩니다. |
軍需産業が強化されると、国の軍事力が向上します。 | |
・ | 군수 산업의 성장은 경제에도 큰 영향을 미칩니다. |
軍需産業の成長は、経済にも大きな影響を与えます。 | |
韓国語(発音) | 日本語 |
---|---|
군수품(クンスプム) | 軍需品 |
군수물자(クンスムルチャ) | 軍需物資 |
수군수군(スグンスグン) | ひそひそ、こそこそ |
군수 산업(クンスサノプ) | 軍需産業 |
대기 발령(待命処分) > |
지방자치단체(地方自治体) > |
백지상태(白紙状態) > |
위임하다(委任する) > |
국영 기업(国営企業) > |
지사(知事) > |
관직(官職) > |
창구(窓口) > |
정보공개(情報公開) > |
사문서(私文書) > |
군수(郡長) > |
주지사(州知事) > |
말단 공무원(下っ端公務員) > |
증명서(証明書) > |
주무 관청(主務官庁) > |
사무관(事務官) > |
자문 위원회(諮問委員会) > |
민원서류(各種証明書) > |
자치권(自治権) > |
처장(処長) > |
정정하다(訂正する) > |
의결(議決) > |
심의회(審議会) > |
공론화하다(公論化する) > |
공론화(公論化) > |
위원회(委員会) > |
장관(大臣) > |
추진위(推進委員会) > |
취임하다(就任する) > |
궐위(欠位)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