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反抗期」は韓国語で「반항기」という。
|
![]() |
・ | 우리 아이가 반항기에 접어들었다. |
私たちの子どもが反抗期に入った。 | |
・ | 7할 이상의 부모가 아이들의 반항기를 경험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
7割以上の親が子どもの反抗期を経験していることがわかりました。 | |
・ | 아들은 지금 반항기로 부모의 말에 대해 반발하고 있어요. |
息子は今、反抗期で親の言うことに対して反発しています。 | |
・ | 반항기에 접어들면 아이는 자신의 의견을 강하게 주장하기 쉽습니다. |
反抗期に入ると、子どもは自分の意見を強く主張しがちです。 | |
・ | 반항기는 성장의 일부로 한동안 지속될 수 있습니다. |
反抗期は成長の一部で、しばらく続くことがあります。 | |
・ | 반항기의 아이에 대해서는 이해와 인내가 필요합니다. |
反抗期の子どもに対しては、理解と忍耐が必要です。 | |
・ | 반항기를 극복하기 위해 부모와 자녀의 의사소통이 중요합니다. |
反抗期を乗り越えるために、親子のコミュニケーションが大切です。 | |
・ | 반항기의 아이는 자기주장이 강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
反抗期の子どもは、自己主張が強くなる傾向があります。 | |
・ | 반항기의 아이는 자기주장이 강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
反抗期の子どもは、自己主張が強くなる傾向があります。 | |
・ | 반항기 시기에는 부모도 아이도 스트레스를 느끼기 쉽습니다. |
反抗期の時期には、親も子どももストレスを感じやすいです。 | |
・ | 반항기의 아이에게는 애정과 규율의 균형이 필요합니다. |
反抗期の子どもには、愛情と規律のバランスが必要です。 | |
・ | 반항기에는 아이가 자기 정체성을 확립하려고 합니다. |
反抗期には、子どもが自己アイデンティティを確立しようとしています。 | |
・ | 반항기 자녀와 대화를 통해 신뢰관계를 쌓는 것이 중요합니다. |
反抗期の子どもと対話を通じて、信頼関係を築くことが大切です。 | |
・ | 반항기 아이가 반발하는 이유를 이해하려는 자세가 중요합니다. |
反抗期の子どもが反発する理由を理解しようとする姿勢が大切です。 | |
・ | 반항기를 맞은 아이는 자기주장이 강해질 수 있습니다. |
反抗期を迎えた子どもは、自己主張が強くなることがあります。 | |
・ | 반항기에 접어들면 아이는 부모의 가치관에 의문을 가질 수 있습니다. |
反抗期に入ると、子どもは親の価値観に疑問を持つことがあります。 | |
・ | 반항기의 자녀는 부모의 의견을 받아들이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
反抗期の子どもは、親の意見を受け入れることが難しいことがあります。 | |
・ | 반항기를 맞은 아이에게는 부모가 감정적으로 대하지 않고 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反抗期を迎えた子どもには、親が感情的にならずに接することが重要です。 | |
・ | 반항기 어린이에 대해서는 이해와 배려를 가지고 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反抗期の子どもに対しては、理解と思いやりを持って接することが大切です。 | |
・ | 반항기의 아이가 안고 있는 스트레스나 불안을 이해하고 지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反抗期の子どもが抱えるストレスや不安を理解し、サポートすることが重要です。 | |
・ | 반항기는 정신 발달 과정에서 두드러지게 반항적 태도를 취하는 시기입니다. |
反抗期は、精神発達の過程で、著しく反抗的態度を取る時期です。 |
오냐오냐하다(よしよしと言って育つ) > |
잉태하다(宿す) > |
입덧(つわり) > |
안정기(安定期) > |
산달(臨月) > |
순산(安産) > |
태몽(胎夢) > |
갓난아이(赤ん坊) > |
태반(胎盤) > |
사산(死産) > |
이름짓기(名づけ) > |
앉기(おすわり) > |
칭얼대다(ぐずる) > |
비만아(肥満児) > |
자식 농사(子育て) > |
늦둥이(年老いて生まれた子) > |
젖을 빨다(乳を飲む) > |
걸음마(幼児の歩き) > |
자장가(子守唄) > |
유아 휴게실(育児休憩室) > |
기저귀를 갈다(オムツを取り替える) > |
조산(早産) > |
시험관 아기(試験管ベビー) > |
오냐오냐(よしよし) > |
아동 수당(児童手当) > |
피임하다(避妊する) > |
임산부 검진(妊娠婦検診) > |
싱글마더(シングルマザー) > |
순산하다(安産する) > |
미숙아(未熟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