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稅收」は韓国語で「세수」という。
|
![]() |
・ | 세수가 줄다. |
税収が減る。 | |
・ | 세수가 늘다. |
税収が増える。 | |
・ | 세수가 증가하다. |
税収が増加する。 | |
・ | 세수가 감소하다. |
税収が減少する。 | |
・ | 경제성장에 따라 세수가 증가했다. |
経済成長により税収が増加した。 | |
・ | 세수는 나라 살림의 중요한 원천이다. |
税収は国の財政の重要な源泉だ。 | |
・ | 지난해 세수는 전년 대비 증가했다. |
昨年の税収は前年比で増加した。 | |
・ | 세수 증가가 예산 편성에 영향을 준다. |
税収の増加が予算編成に影響を与える。 | |
・ | 정부는 세수 사용처를 공개했다. |
政府は税収の使途を公開した。 | |
・ | 세수의 대부분이 소득세에서 나온다. |
税収の大部分が所得税から得られている。 | |
・ | 세수의 감소가 재정 적자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
税収の減少が財政赤字を招く可能性がある。 | |
・ | 세수 확보가 중요한 과제다. |
税収の確保が重要な課題だ。 | |
・ | 정부는 세수의 안정화를 도모하고 있다. |
政府は税収の安定化を図っている。 | |
・ | 세수 증가가 사회복지에 기여하고 있다. |
税収の増加が社会福祉に貢献している。 | |
・ | 세수 분배가 공정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
税収の分配が公正に行われている。 | |
・ | 세수 운용에 대해 공청회가 열렸다. |
税収の運用について公聴会が開かれた。 | |
・ | 세수 사용처에 대한 시민 의견이 반영됐다. |
税収の使途に対する市民の意見が反映された。 | |
・ | 정부는 세수 확보를 위한 새로운 시책을 내놓았다. |
政府は税収の確保に向けた新たな施策を打ち出した。 | |
・ | 세수 예산 집행이 원활하도록 정부는 각 부처와 연계를 강화하고 있다. |
税収の予算執行がスムーズに進むよう、政府は各省庁と連携を強化している。 | |
・ | 세수의 증가가 교육이나 의료의 향상에 직결하고 있다. |
税収の増加が教育や医療の向上に直結している。 |
韓国語(発音) | 日本語 |
---|---|
세수하다(セスハダ) | 顔を洗う |
세수를 하다(セスルル ハダ) | 顔を洗う |
국영 기업(国営企業) > |
관가(官庁) > |
취임 일성(就任の第一声) > |
세입(歳入) > |
당국자(当局者) > |
장려금(奨励金) > |
심의하다(審議する) > |
행정평가(行政評価) > |
출생 신고(出産届) > |
가등기(仮登記) > |
벌과금(罰金) > |
고관(高官) > |
시정(市政) > |
시책(施策) > |
간소화(簡素化) > |
차관(次官) > |
위임하다(委任する) > |
지자체(自治体) > |
등기를 내다(登記をする) > |
자문 위원회(諮問委員会) > |
불복종(不服従) > |
민원(陳情) > |
자치권(自治権) > |
세수(稅收) > |
예타(豫備妥當性) > |
불복종하다(従わない) > |
취임하다(就任する) > |
공무상(公務上) > |
폐기물 처리시설(廃棄物処理施設) > |
국책(国策)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