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바닷물이 만조에는 해변에 갈 수 없습니다. |
海の水が満潮には、ビーチに行くことはできません。 | |
・ | 하루 중 해수면이 가장 높아질 때를 만조라고 한다. |
1日のうちで海水面が最も高くなるときを満潮という。 | |
・ | 간조가 끝나고 조수가 차오르는 것을 만조라 한다. |
干潮が終わって潮が満ちてくることを満ち潮という。 | |
・ | 조수 간만으로 해수면 수위가 가장 높아진 상태를 '만조'라고 합니다. |
潮の満ち引きで、海面の水位が最も上がった状態を「満潮」といいます。 | |
・ | 지구는 하루에 한 번 자전하기 때문에 많은 곳에서는 하루에 두 번의 만조와 간조를 맞게 됩니다. |
地球は1日に1回自転するので、多くの場所では1日に2回の満潮と干潮を迎えることになります。 | |
・ | 간조에서 만조까지의 사이에서 해면이 상승하고 있을 때를 밀물이라고 한다. |
干潮から満潮までの間で海面が上昇しつつあるときを上げ潮という。 | |
・ | 조위가 다 올라간 상태가 만조, 반대로 내려간 상태가 간조입니다. |
潮位が上がりきった状態が「満潮」、反対に下がりきった状態が「干潮」です。 | |
・ | 간조 시에는 해수면의 높이가 낮아지고 만조 시에는 해수면의 높이가 높아집니다. |
干潮時には海面の高さが低くなり、満潮時には海面の高さが高くなります。 | |
・ | 만조와는 반대로 해수면 수위가 가장 낮아지는 상태가 '간조'입니다. |
満潮とは逆に、海面の水位が最も低くなる状態が「干潮」です。 | |
・ | 해발은 간조 때와 만조 때의 연평균을 기준으로 한다. |
海抜は干潮時と満潮時の年間平均を基準とする。 |
대(竹) > |
연못(池) > |
천연기념물(天然記念物) > |
삼림욕(森林浴) > |
눈밭(雪野原) > |
녹지(緑地) > |
용천수(湧き水) > |
산간(山間) > |
뭍(陸) > |
갈수기(渇水期) > |
수변(水辺) > |
폭포수(滝の水) > |
해안선(海岸線) > |
상류(上流) > |
가로수(街路樹) > |
자연 생식지(自然生息地) > |
토사(土砂) > |
산촌(山村) > |
녹음(綠陰) > |
내(小川) > |
동물성 플랑크톤(動物性プランクトン.. > |
수변 공원(水辺公園) > |
대해(大海) > |
해수욕장(海水浴場) > |
가을바람(秋風) > |
오솔길(細道) > |
공기(空気) > |
강가(川辺) > |
흙더미(土盛り) > |
갯벌(干潟(ひがた))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