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바닷물이 만조에는 해변에 갈 수 없습니다. |
海の水が満潮には、ビーチに行くことはできません。 | |
・ | 하루 중 해수면이 가장 높아질 때를 만조라고 한다. |
1日のうちで海水面が最も高くなるときを満潮という。 | |
・ | 간조가 끝나고 조수가 차오르는 것을 만조라 한다. |
干潮が終わって潮が満ちてくることを満ち潮という。 | |
・ | 조수 간만으로 해수면 수위가 가장 높아진 상태를 '만조'라고 합니다. |
潮の満ち引きで、海面の水位が最も上がった状態を「満潮」といいます。 | |
・ | 지구는 하루에 한 번 자전하기 때문에 많은 곳에서는 하루에 두 번의 만조와 간조를 맞게 됩니다. |
地球は1日に1回自転するので、多くの場所では1日に2回の満潮と干潮を迎えることになります。 | |
・ | 간조에서 만조까지의 사이에서 해면이 상승하고 있을 때를 밀물이라고 한다. |
干潮から満潮までの間で海面が上昇しつつあるときを上げ潮という。 | |
・ | 조위가 다 올라간 상태가 만조, 반대로 내려간 상태가 간조입니다. |
潮位が上がりきった状態が「満潮」、反対に下がりきった状態が「干潮」です。 | |
・ | 간조 시에는 해수면의 높이가 낮아지고 만조 시에는 해수면의 높이가 높아집니다. |
干潮時には海面の高さが低くなり、満潮時には海面の高さが高くなります。 | |
・ | 만조와는 반대로 해수면 수위가 가장 낮아지는 상태가 '간조'입니다. |
満潮とは逆に、海面の水位が最も低くなる状態が「干潮」です。 | |
・ | 해발은 간조 때와 만조 때의 연평균을 기준으로 한다. |
海抜は干潮時と満潮時の年間平均を基準とする。 |
개울물(小川の水) > |
평지(平地) > |
석양빛(夕日) > |
빙산(氷山) > |
진흙(泥) > |
해안(海岸) > |
상고대(樹氷) > |
나뭇잎(木の葉) > |
종유석(鍾乳石) > |
지각(地殻) > |
펄(干潟) > |
한라산(漢拏山) > |
대기(大気) > |
소용돌이(渦巻き) > |
갯바위(磯) > |
자갈길(砂利道) > |
습원(湿原) > |
천연수(天然水) > |
해수면(海水面) > |
하천 부지(河川敷) > |
망망대해(茫々たる大海) > |
계류(渓流) > |
탁류(濁流) > |
냇가(小川のほとり) > |
개활지(開豁地) > |
수면(水面) > |
옹달샘(小さな泉) > |
수중(水中) > |
담수(淡水) > |
뒷산(裏山)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