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만조와는 반대로 해수면 수위가 가장 낮아지는 상태가 '간조'입니다. |
満潮とは逆に、海面の水位が最も低くなる状態が「干潮」です。 | |
・ | 간조 시에는 해수면의 높이가 낮아지고 만조 시에는 해수면의 높이가 높아집니다. |
干潮時には海面の高さが低くなり、満潮時には海面の高さが高くなります。 | |
・ | 갯벌에서는 간조 때 바다 밑바닥이 드러납니다. |
干潟では、干潮時に海の底が現れます。 | |
・ | 시간은 금이다, 작은 순간조차 소중히 여겨야 한다. |
時間は金だ、小さな瞬間さえも大切にしなければならない。 | |
・ | 너무 바빠져 아이를 돌볼 시간조차 나지 않았다. |
とても忙しくなり、子どもを世話する時間すら無かった。 | |
・ | 간조에서 만조까지의 사이에서 해면이 상승하고 있을 때를 밀물이라고 한다. |
干潮から満潮までの間で海面が上昇しつつあるときを上げ潮という。 | |
・ | 지구는 하루에 한 번 자전하기 때문에 많은 곳에서는 하루에 두 번의 만조와 간조를 맞게 됩니다. |
地球は1日に1回自転するので、多くの場所では1日に2回の満潮と干潮を迎えることになります。 | |
・ | 간조가 끝나고 조수가 차오르는 것을 만조라 한다. |
干潮が終わって潮が満ちてくることを満ち潮という。 | |
・ | 조위가 다 올라간 상태가 만조, 반대로 내려간 상태가 간조입니다. |
潮位が上がりきった状態が「満潮」、反対に下がりきった状態が「干潮」です。 | |
・ | 해발은 간조 때와 만조 때의 연평균을 기준으로 한다. |
海抜は干潮時と満潮時の年間平均を基準とする。 |
근해(近海) > |
협곡(峡谷) > |
약수(湧き水) > |
보(堰) > |
녹지(緑地) > |
해가 뜨다(日が昇る) > |
녹음(綠陰) > |
바위(岩) > |
가을바람(秋風) > |
뒷동산(裏山) > |
대(竹) > |
돌멩이(石ころ) > |
개펄(干潟) > |
능선(稜線) > |
아침노을(朝焼け) > |
무인도(無人島) > |
썰물(下げ潮) > |
하천(河川) > |
유인도(有人島) > |
수변(水辺) > |
천(川) > |
골짜기(谷間) > |
대자연(大自然) > |
남태평양(南太平洋) > |
탁류(濁流) > |
개활지(開豁地) > |
소백산맥(小白山脈) > |
기슭(岸) > |
이안류(離岸流) > |
설경(雪景)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