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無秩序」は韓国語で「무질서」という。
|
![]() |
・ | 선생님은 무질서한 사회를 구할 수 있는 것은 교양이라고 주장했다. |
先生は、無秩序の社会を救うのは教養であると説いた。 | |
・ | 사회학에서 무질서를 아노미라고한다. |
社会学で無秩序のことをアノミーといいます。 | |
・ | 질서를 무질서로 하는 것은 간단하지만 무질서를 질서로 돌이키는 것은 어렵다. |
秩序を無秩序にするのは簡単だが、無秩序を秩序に戻すのは難しい。 | |
・ | 구정권 붕괴 후에 무질서가 지배하여 약탈과 폭동에 의해 사회 기반이 붕괴되어 버렸다. |
旧政権崩壊後に無秩序が支配、略奪と暴動により、社会基盤が崩壊してしまった。 | |
・ | 무질서한 벌채가 큰 문제가 되고 있다. |
無秩序な伐採が大きな問題になっている。 | |
・ | 무질서를 다양성과 혼동하다. |
無秩序を多様性と取り違える。 | |
・ | 인구 감소를 고려하지 않는 무질서한 도시 계획이 각지에서 횡행한다. |
人口減少などを考慮しない、無秩序な都市計画が各地で横行する。 |
보복 운전(煽り運転) > |
대중교통(公共交通) > |
도로(道路) > |
짐칸(貨物車両) > |
차간 거리(車間距離) > |
버카충(バスカードチャージ) > |
주정차(駐停車) > |
도착(到着) > |
국도(国道) > |
순환 버스(循環バス) > |
파란불(青信号) > |
지름길(近道) > |
다리(橋) > |
자유석(自由席) > |
러시아워(ラッシュアワー) > |
렌트카(レンタカー) > |
사통팔달(四通八達) > |
청신호(青信号) > |
굽잇길(曲がり道) > |
전철을 타다(電車に乗る) > |
수하물 수취소(手荷物受取所) > |
임시편(臨時便) > |
택시 기사(タクシー運転手) > |
통행금지(通行禁止) > |
전용차로(専用道路) > |
도로를 건너다(道路を渡る) > |
버스 노선(バス路線) > |
무단 횡단(乱横断) > |
찻길(車道) > |
노상 주차(路上駐車)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