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学問」は韓国語で「학문」という。
|
![]() |
・ | 새로운 학문 분야를 창시한 인물입니다。 |
新たな学問分野を創始した人物です。 | |
・ | 교육자로서의 어록은 학문의 지침으로 매우 중요합니다。 |
教育者としての語録は、学びの指針として非常に重要です。 | |
・ | 학자의 어록은 종종 학문의 길잡이가 됩니다. |
学者の語録は、しばしば学問の道しるべとなります。 | |
・ | 유학은 사회 질서를 중요시하는 학문이다. |
儒学は社会秩序を重んじる学問である。 | |
・ | 교수는 논문 발표를 통해 학문의 세계에 기여하고 있다. |
教授は論文発表を通じて、学問の世界に貢献している。 | |
・ | 그는 학문의 지식이 풍부하며, 여러 가지를 알고 있는 박학다식한 사람입니다. |
彼は学問の知識が豊かで、色々なこと知っている博学多識な人です。 | |
・ | 학문에 뜻을 두다. |
学に志す。 | |
・ | 학사 자격은 학문의 기초를 다지는 중요한 단계입니다. |
学士の資格は、学問の基礎を固める大切なステップです。 | |
・ | 신학 학문은 신앙과 이성을 연결합니다. |
神学の学問は信仰と理性の橋渡しをします。 | |
・ | 개념을 이해하는 것은 학문의 첫걸음입니다. |
概念を理解することは、学びの第一歩です。 | |
韓国語(発音) | 日本語 |
---|---|
학문의 자유(ハンムネ チャユ) | 学問の自由 |
조기 교육(早期教育) > |
합격하다(合格する) > |
사교육비(私教育費) > |
국민 체조(国民体操) > |
후진(後進) > |
인성교육(人格教育) > |
맹모삼천지교(孟母三遷の教え) > |
국정 교과서(国定教科書) > |
주입식(詰め込み) > |
윤리학(倫理学) > |
재교육(再教育) > |
교수법(教授法) > |
책벌레(本の虫) > |
진학률(進学率) > |
육성하다(育成する) > |
교육(教育) > |
상장(賞状) > |
학회(学会) > |
교육 개혁(教育改革) > |
학급(学級) > |
학부모회(保護者会) > |
영재교육(英才教育) > |
교육비(教育費) > |
중졸(中卒) > |
기간제 교사(期間制教師) > |
저학력(低学歴) > |
체험단(体験団) > |
인지심리학(認知心理学) > |
어학원(語学学校) > |
강습(講習)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