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学問」は韓国語で「학문」という。
|
![]() |
・ | 창시자의 노력 덕분에 이 학문이 발전했다. |
創始者の努力のおかげでこの学問が発展した。 | |
・ | 고대사는 인간 문명의 시작을 이해하는 중요한 학문입니다. |
古代史は人類文明の始まりを理解する重要な学問です。 | |
・ | 학술 논문을 발표하는 것은 학문적 경력에 중요합니다. |
学術論文を発表することは、学問的なキャリアにとって重要です。 | |
・ | 새로운 학문 분야를 창시한 인물입니다。 |
新たな学問分野を創始した人物です。 | |
・ | 교육자로서의 어록은 학문의 지침으로 매우 중요합니다。 |
教育者としての語録は、学びの指針として非常に重要です。 | |
・ | 학자의 어록은 종종 학문의 길잡이가 됩니다. |
学者の語録は、しばしば学問の道しるべとなります。 | |
・ | 유학은 사회 질서를 중요시하는 학문이다. |
儒学は社会秩序を重んじる学問である。 | |
・ | 교수는 논문 발표를 통해 학문의 세계에 기여하고 있다. |
教授は論文発表を通じて、学問の世界に貢献している。 | |
・ | 그는 학문의 지식이 풍부하며, 여러 가지를 알고 있는 박학다식한 사람입니다. |
彼は学問の知識が豊かで、色々なこと知っている博学多識な人です。 | |
・ | 학문에 뜻을 두다. |
学に志す。 | |
韓国語(発音) | 日本語 |
---|---|
학문의 자유(ハンムネ チャユ) | 学問の自由 |
학예회(学芸会) > |
연구(研究) > |
개교(開校) > |
전문지식(専門知識) > |
교육 개혁(教育改革) > |
강습(講習) > |
학령 인구(学齢人口) > |
유학파(留学組) > |
교양(教養) > |
인재 양성(人材育成) > |
중졸(中卒) > |
헌책(古本) > |
시야를 넓히다(視野を広げる) > |
육성하다(育成する) > |
인지심리학(認知心理学) > |
취학(就学) > |
문맹(文盲) > |
초급(初級) > |
평생 교육(生涯教育) > |
교육열(教育熱) > |
고등 교육(高等敎育) > |
국정 교과서(国定教科書) > |
중급(中級) > |
조기 유학(早期留学) > |
학급(学級) > |
과외(家庭教師) > |
인성교육(人格教育) > |
수련회(修練会) > |
월반(飛び級) > |
과보호(過保護)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