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学問」は韓国語で「학문」という。
|
![]() |
・ | 교수는 논문 발표를 통해 학문의 세계에 기여하고 있다. |
教授は論文発表を通じて、学問の世界に貢献している。 | |
・ | 그는 학문의 지식이 풍부하며, 여러 가지를 알고 있는 박학다식한 사람입니다. |
彼は学問の知識が豊かで、色々なこと知っている博学多識な人です。 | |
・ | 학문에 뜻을 두다. |
学に志す。 | |
・ | 학사 자격은 학문의 기초를 다지는 중요한 단계입니다. |
学士の資格は、学問の基礎を固める大切なステップです。 | |
・ | 신학 학문은 신앙과 이성을 연결합니다. |
神学の学問は信仰と理性の橋渡しをします。 | |
・ | 개념을 이해하는 것은 학문의 첫걸음입니다. |
概念を理解することは、学びの第一歩です。 | |
・ | 지정학은 미래 예측에도 도움이 되는 학문입니다. |
地政学は未来の予測にも役立つ学問です。 | |
・ | 지정학은 지리와 정치가 교차하는 학문입니다. |
地政学は地理と政治が交差する学問です。 | |
・ | 다년간의 연구가 학문의 발전에 기여했습니다. |
多年間の研究が、学問の発展に寄与しました。 | |
・ | 학문 분야의 차이로 다른 사람을 얕보는 것은 학제 간 발전을 저해합니다. |
学問分野の違いで他者を見下すことは、学際的な発展を阻害します。 | |
韓国語(発音) | 日本語 |
---|---|
학문의 자유(ハンムネ チャユ) | 学問の自由 |
기러기 아빠(雁のお父さん) > |
인지심리학(認知心理学) > |
갈매기 아빠(単身赴任する父) > |
학구파(勉強をよくする人) > |
전문지식(専門知識) > |
워킹홀리데이(ワーキングホリデー) > |
유학(留学) > |
야자(夜間自律学習の略) > |
대학 진학율(大学進学率) > |
커리큘럼(カリキュラム) > |
합격하다(合格する) > |
육성하다(育成する) > |
교육 개혁(教育改革) > |
주입식(詰め込み) > |
중졸(中卒) > |
해외 유학(海外留学) > |
문맹(文盲) > |
과외(家庭教師) > |
입시 지옥(入試地獄) > |
참교육(正しい教育) > |
교육과정(教育過程) > |
학력(学歴) > |
상장(賞状) > |
유급(留年) > |
어학원(語学学校) > |
영어교육(英語教育) > |
남녀 공학(男女共学) > |
학제(学制) > |
교수법(教授法) > |
초급(初級)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