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建国」は韓国語で「건국」という。
|
![]() |
・ | 건국은 국가의 기틀을 마련하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
建国は国家の基盤を築く重要な過程です。 | |
・ | 그는 독립운동을 통해 새로운 나라를 건국했습니다. |
彼は独立運動を通じて新しい国を建国しました。 | |
・ | 건국은 단순한 정치적 사건이 아니라, 민족의 염원과 희생의 결과입니다. |
建国は単なる政治的な出来事ではなく、民族の願いと犠牲の結果です。 | |
・ | 건국 당시의 지도자들은 많은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
建国当時の指導者たちは多くの困難に直面しました。 | |
・ | 건국 기념일은 나라의 역사와 문화를 되새기는 날입니다. |
建国記念日はその国の歴史と文化を振り返る日です。 | |
・ | 그 나라는 1948년에 건국되었습니다. |
その国は1948年に建国されました。 | |
・ | 건국 정신은 자유와 평등을 바탕으로 합니다. |
建国の精神は自由と平等を基盤にしています。 | |
・ | 건국 과정에서 여러 나라의 지원이 큰 역할을 했습니다. |
建国過程で多くの国々の支援が大きな役割を果たしました。 | |
・ | 건국 이후, 그 나라는 빠르게 발전을 이루었습니다. |
建国後、その国は急速に発展を遂げました。 | |
・ | 건국의 의미는 단순히 국가를 세우는 것 이상의 중요한 가치가 있습니다. |
建国の意味は単に国家を作ること以上に重要な価値があります。 | |
・ | 터키는 1932년 건국 이래, 정교 분리 방침에 따라 국가와 종교의 분리를 원칙으로 하고 있다. |
トルコは1923年の建国以来、政教分離の方針に基づいて国家と宗教の分離を原則としている。 | |
・ | 개천절은 10월 3일로 한반도 최초의 국가인 고조선의 건국을 기념하는 날이다. |
韓国民族の最初の国家である古朝鮮の建国を記念する日です。 | |
・ | 이성계는 1392년 조선을 건국한 인물입니다. |
李成桂は1392年、朝鮮を建国した人物です。 | |
・ | 팔레스타인 문제의 원인은 아랍인이 사는 팔레스타인에 유대인 국가 이스라엘이 건국된 것에 있습니다. |
パレスチナ問題の原因は、アラブ人の住むパレスチナにユダヤ人国家イスラエルが建国されたことにあります。 | |
・ | 이스라엘은 1948년 5월, 국제연합의 팔레스티나 분할 결의에 따라 건국을 선언한 유대인 국가입니다. |
イスラエルは、1948年5月、国際連合のパレスチナ分割決議に従って建国を宣言したユダヤ人国家です。 |
韓国語(発音) | 日本語 |
---|---|
건국되다(コングクテダ) | 建国される |
건국하다(コングカダ) | 建国する |
건국대학 언어교육원(コングクテハックオノ ギョユグォン) | 建国大学 言語教育院 |
세계사(世界史) > |
새마을 운동(セマウル運動) > |
삼국 시대(三国時代) > |
단군신화(檀君神話) > |
백정(屠畜業者などに対する差別用語) > |
그리스 신화(ギリシャ神話) > |
빗살무늬 토기(櫛目文土器) > |
고려시대(高麗時代) > |
아우슈비츠 강제수용소(アウシュビッ.. > |
신기원(新紀元) > |
토기(土器) > |
연대별(年代別) > |
유적(遺跡) > |
청동기 시대(青銅器時代) > |
식민지 지배(植民地支配) > |
고구려(高句麗) > |
압축 성장(圧縮成長) > |
백제(百済) > |
심청전(沈清伝) > |
서기(西暦) > |
위안부(慰安婦) > |
신기전(神機箭) > |
기생(妓生) > |
세자(世子) > |
춘향전(春香伝) > |
독립유공자(独立活動をした功労者) > |
역사학자(歴史学者) > |
고려(高麗) > |
황태자비(皇太子妃) > |
시대(時代)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