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指数」は韓国語で「지수」という。
|
![]() |
・ | 물가 지수는 어떻게 계산하나요? |
物価指数はどうやって計算しますか。 | |
・ | 주가 지수는 개개의 주가를 일정한 계산 방법으로 종합해서 수치화한 것이다. |
株価指数は、個々の株価を一定の計算方法で総合し、数値化したものである。 | |
・ | 소비자가 느끼는 체감 경기 지수가 큰 폭으로 악화되고 있다. |
消費者が感じる体感景気指数が大幅に悪化している。 | |
・ | 경기 상황을 나타내는 지수가 반년 만에 개선되었다. |
景気の状況を示す指数が半年ぶりに改善した。 | |
・ | 원화 약세의 영향으로 국내 소비자물가지수가 상승했습니다. |
ウォン安の影響で、韓国国内の消費者物価指数が上昇しました。 | |
・ | 지수 씨 첫사랑은 어떤 사람이었어요? |
チスさんの初恋はどんな人でしたか? | |
・ | 코스닥(KOSDAQ) 지수는 장 초반 3% 반등 흐름을 보였지만 장 막판 무너지며 1.5% 하락 마감했다. |
コスダック(KOSDAQ)指数は、取引開始直後に3%反発したが、取引終了直前に崩壊し、1.5%下落して取引を終えた。 | |
・ | 소비자 물가 지수는 물가의 변동을 시계열적으로 측정한 것입니다. |
消費者物価指数は、物価の変動を時系列的に測定するものです。 | |
・ | 부정 방정식이란 방정식 보다도 미지수의 수가 많아, 해가 여러 개 존재하는 방정식을 가리킵니다. |
不定方程式とは、方程式”よりも未知数の数の方が多く、解がいくつも存在する方程式を指します。 | |
・ | 부정 방정식이란, 일반적으로 방정식의 수가 미지수의 수보다 적은 경우를 의미합니다. |
不定方程式とは、一般的に方程式の数が未知数の数より少ないケースを意味します。 | |
・ | 미지수 X를 구하다. |
未知数Xを求める。 | |
・ | 그의 실력은 미지수다. |
彼の実力は未知数だ。 | |
・ | 지속적인 효과는 미지수다. |
持続的効果は未知数だ。 | |
・ | 추가 대책이 기대만큼 효과를 낼지는 미지수다. |
追加対策が期待ほどの効果を上げるかどうかは未知数だ。 | |
수출입(輸出入) > |
희소가치(希少価値) > |
차관(借款) > |
공급망(サプライチェーン) > |
경제 대국(経済大国) > |
재정(財政) > |
저성장(低成長) > |
아베노믹스(アベノミクス) > |
투자처(投資先) > |
스톡옵션(ストックオプション) > |
디플레이션(デフレーション) > |
FTA(에프티에이)(自由貿易協定) > |
임시 주총(臨時株総) > |
산업기반(産業基盤) > |
재정상태(財政状態) > |
공정보합(公定歩合) > |
강경 노선(強硬路線) > |
재분배(再分配) > |
개성공단(開城工団) > |
소비(消費) > |
경기(景気) > |
FX마진거래(FX) > |
호조(好調) > |
파탄(破綻) > |
개인 소비(個人消費) > |
고소득자(高所得者) > |
감세(減税) > |
구매력(購買力) > |
통상하다(通商する) > |
경기 전망(景気見通し)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