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大乱」は韓国語で「대란」という。
|
![]() |
・ | 대란이 일어나다. |
大乱が起る。 | |
・ | 그 대란으로 많은 사람이 목숨을 잃었다. |
その大乱で多くの人が命を落とした。 | |
・ | 대란 후, 나라는 부흥을 시작했다. |
大乱の後、国は復興を始めた。 | |
・ | 그는 대란 속에서 용감하게 싸웠다. |
彼は大乱の中で勇敢に戦った。 | |
・ | 대란 종식에는 오랜 시간이 걸렸다. |
大乱の終息には長い時間がかかった。 | |
・ | 대란 기록은 지금도 남아 있다. |
大乱の記録は今も残っている。 | |
・ | 그 마을은 대란의 피해를 입었다. |
その村は大乱の被害を受けた。 | |
・ | 대란 후, 평화 교섭이 행해졌다. |
大乱の後、和平交渉が行われた。 | |
・ | 그들은 대란에서 살아남았다. |
彼らは大乱を生き延びた。 | |
・ | 대란은 갑자기 시작됐다. |
大乱は突然始まった。 | |
・ | 대란 전에는 평화로운 시대가 계속되고 있었다. |
大乱の前には平和な時代が続いていた。 | |
・ | 대란의 영향으로 사람들은 피난했다. |
大乱の影響で人々は避難した。 | |
・ | 대란 때 사용했던 무기들이 전시되어 있다. |
大乱の際に使われた武器が展示されている。 | |
・ | 대란 속에서도 그는 냉정했다. |
大乱の最中でも彼は冷静だった。 | |
・ | 대란의 전조는 있었지만 아무도 막지 못했다. |
大乱の予兆はあったが、誰も止められなかった。 | |
・ | 대란 속에서 그는 가족을 지켰다. |
大乱の中、彼は家族を守った。 | |
・ | 대란이 끝나고 드디어 평화가 돌아왔다. |
大乱が終わり、ようやく平和が戻った。 | |
・ | 대란의 여파로 경제도 침체됐다. |
大乱の影響で経済も停滞した。 | |
・ | 대란을 피하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도망쳤다. |
大乱を避けるために多くの人が逃げた。 | |
・ | 대란 후유증에 시달리는 사람도 많았다. |
大乱の後遺症に苦しむ人も多かった。 | |
・ | 공업 지대란 다수의 공장이 일정 지역 내에 집중적으로 존재하고 있는 곳을 말한다. |
工業地帯とは、多数の工場が一定の地域内に集中的に存在しているところをいう。 | |
・ | 곡창 지대란 곡물을 대량으로 생산하는 지역을 말합니다. |
穀倉地帯とは、穀物を大量に生産する地域のことです。 | |
・ | M세대란 모바일 컴퓨팅을 하는 네트워크 세대를 말합니다. |
M世代とはモバイルコンピューティングをするネットワーク世代をいう。 | |
・ | 조리대란, 부엌에서 조리 작업을 하기 위한 치킨 작업대입니다. |
調理台とは、台所で調理作業をするためのキッチンの作業台です。 | |
・ | 저지대란 주위와 비교해 낮은 토지를 말한다. |
低地とは周囲と比べて低い土地をいう。 | |
・ | 중앙분리대란 도로의 중앙에 설치되어 있는 구조물이다. |
中央分離帯とは、道路の中央に設置された構造物である。 |
지역구(選挙区) > |
법안(法案) > |
중도(中道) > |
신당(新党) > |
정계 개편(政界再編) > |
본회의(本会議) > |
탈북자(脱北者) > |
재외 투표(在外投票) > |
이적 행위(利敵行為) > |
의장(議長) > |
국민(国民) > |
투표율(投票率) > |
당파(党派) > |
국력(国力) > |
피선거권(被選挙権) > |
불법 시위(不法デモ) > |
통치(統治) > |
비자금(裏金) > |
애국가(愛国歌) > |
국회의원(国会議員) > |
저항(抵抗) > |
대란(大乱) > |
대선 주자(大統領選挙の候補) > |
독트린(ドクトリン) > |
폭정(暴政) > |
투표하다(投票する) > |
친북 반미(親北反米) > |
정치 활동(政治活動) > |
간신(奸臣) > |
제도(制度)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