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直喩」は韓国語で「직유」という。
|
![]() |
・ | 직유는 은유의 일종으로 직접 비유하는 것입니다. |
直喩は隠喩の一種で直接喩えるものです。 | |
・ | 직유와 은유의 차이를 알기 쉽게 알려주세요. |
直喩と隠喩の違いをわかりやすく教えてください。 | |
・ | 직유는 무엇인가를 무엇인가로 직접 비유할 때 사용하는 문법입니다. |
直喩は何かを何かで直接例えるときに使う文法です。 | |
・ | 비유 표현에는 크게 나눠서 직유와 은유라는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
比喩表現には、大きく分けると直喩と隠喩という二つの方法があります。 | |
・ | 비유에는 직유와 은유가 있습니다. |
比喩には直喩と隠喩があります。 | |
・ | 작가는 직유나 은유로 불리우는 특별한 종류의 비유적인 언어를 자주 사용한다. |
作家は、直喩や隠喩と呼ばれる特別な種類の比喩的な言葉をよく使う。 |
평음(平音) > |
라틴어(ラテン語) > |
어법(語法) > |
트랜스유라시아어(トランスユーラシア.. > |
카타카나(かたかな) > |
모국어(母国語) > |
사투리(なまり) > |
일어회화(日本語会話) > |
말솜씨(話術) > |
한양대학 국제어학원(漢陽大学 国際.. > |
억양(イントネーション) > |
겹말(意味が重複する言葉) > |
유행어(流行語) > |
외국어(外国語) > |
순우리말(純韓国語) > |
일본말(日本語) > |
언질(言葉質) > |
반말(タメ口) > |
머리글자(頭文字) > |
고려대학 국제어학원(高麗大学 国際.. > |
머리말(前書き) > |
아랍어(アラビア語) > |
느낌표(感嘆符) > |
은어(隠語) > |
홍익대학 한국어교육부(弘益大学 韓.. > |
겸양어(謙譲語) > |
합성어(合成語) > |
표준어(標準語) > |
천자문(千字文) > |
직설법(直説法)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