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隠喩」は韓国語で「은유」という。「메타포(メタファー)」ともいう。
|
![]() |
・ | 작가는 직유나 은유로 불리우는 특별한 종류의 비유적인 언어를 자주 사용한다. |
作家は、直喩や隠喩と呼ばれる特別な種類の比喩的な言葉をよく使う。 | |
・ | 은유는 비유를 통해 사물을 알기 쉽게 전달하는 기법입니다. |
メタファーとは、比喩によって物事をわかりやすく伝える手法です。 | |
・ | 그의 픽션에는 많은 은유가 포함되어 있다. |
彼のフィクションには多くの隠喩が含まれている。 | |
・ | 비유 표현에는 크게 나눠서 직유와 은유라는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
比喩表現には、大きく分けると直喩と隠喩という二つの方法があります。 | |
・ | 비유에는 직유와 은유가 있습니다. |
比喩には直喩と隠喩があります。 | |
・ | 직유와 은유의 차이를 알기 쉽게 알려주세요. |
直喩と隠喩の違いをわかりやすく教えてください。 | |
・ | 직유는 은유의 일종으로 직접 비유하는 것입니다. |
直喩は隠喩の一種で直接喩えるものです。 |
호소력(訴える力) > |
용품(用品) > |
구직(求職) > |
산재(労災) > |
오밤중(真夜中) > |
흡연율(喫煙率) > |
계집애(女の子) > |
제왕(帝王) > |
기록(記録) > |
입헌 정치(立憲政治) > |
쪽지 시험(小テスト) > |
척척박사(物知り博士) > |
가면(仮面) > |
별일(変わったこと) > |
베이징(北京) > |
과일 가게(果物店) > |
다다음 달(再来月) > |
나중(のちほど) > |
능률(能率) > |
넝쿨(蔓) > |
청첩장(招待状) > |
도시락(弁当) > |
정보화(情報化) > |
수심(水深) > |
출자(出資) > |
영업점(営業店) > |
군사력(軍事力) > |
축하연(祝賀の宴) > |
가용(可容) > |
세트(セット)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