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相場」は韓国語で「장세」という。
|
![]() |
・ | 평소에 장세 흐름을 주의 깊게 보는 것이 중요하다. |
日頃から相場の流れを注意深く見ることが大切である。 | |
・ | 무장세력과 군과의 전투가 격해지고 있다. |
武装勢力と軍との戦闘が激しくなっている。 | |
・ | 국내 소주 시장 성장세가 주춤하자 주류업체들은 해외시장 공략에 나섰다. |
国内の焼酎市場の伸びが鈍り、酒類業界は海外市場の攻略に乗り出した。 | |
・ | 중국의 경제 성장세가 둔화할 경우 한국의 대중 수출에 대한 부정적 영향이 불가피하다. |
中国の経済成長の勢いが衰えた場合、韓国の対中輸出に対する否定的な影響は避けられない。 | |
・ | 미국 금리 상승에서 발단한 하락 장세는 어디로 향하는가? |
米金利上昇に端を発する下落相場にどう向かうのか? | |
・ | 수출액은 지난해 10월 이후 11개월 연속 증가에, 9개월 연속 두 자릿수대의 높은 성장세다. |
輸出額は昨年10月以降、11カ月連続で増加し、9カ月連続で2桁台の高い成長だ。 | |
・ | 무장세력이 1개월간의 정전을 선언했다. |
武装勢力が1カ月間の停戦を宣言した。 |
韓国語(発音) | 日本語 |
---|---|
성장세(ソンジャンセ) | 成長の勢い、成長ぶり、伸び |
통계(統計) > |
가공 무역(加工貿易) > |
임금 상승률(賃金上昇率) > |
가계 수지(家計収支) > |
급성장하다(急成長する) > |
하반기(下半期) > |
국가재정(国家財政) > |
스톡옵션(ストックオプション) > |
원저(ウォン安) > |
경제교류(経済交流) > |
경상수지(経常収支) > |
최빈국(最貧国) > |
세출(歳出) > |
주식 시장(株式市場) > |
부국(富国) > |
물가 상승률(物価上昇率) > |
재정 수입(財政収入) > |
국제 기준(国際基準) > |
환차손(為替差損) > |
장외거래(場外取引) > |
부유층(富裕層) > |
무역 마찰(貿易摩擦) > |
노동 시장(労働市場) > |
자유 방임주의(自由放任主義) > |
경기가 얼어붙다(景気が冷え込む) > |
저예산(低予算) > |
실업률(失業率) > |
투자자(投資家) > |
가치 하락(価値下落) > |
한국은행(韓国銀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