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大流行」は韓国語で「대유행」という。
|
![]() |
・ | 7월 하순 코로나의 대유행이 시작되면서 매출이 절반으로 떨어졌다. |
7月下旬にコロナの大流行が始まり、売上げは半分に落ちた。 | |
・ | 세계가 코로나19 대유행에서 벗어나려면 아직 시간이 걸린다. |
世界がコロナ大流行から抜け出すにはまだ時間がかかる。 | |
・ | 그 바이러스는 신속하게 퍼져서 대유행했어요. |
そのウイルスは速やかに広がり、大流行しました。 | |
・ | 지난겨울에 인플루엔자가 전국에서 대유행했습니다. |
昨年の冬はインフルエンザが全国で大流行しました。 | |
・ | 천연두는 전 세계적으로 대유행을 일으키고 있었습니다. |
天然痘は世界中で大流行を引き起こしていました。 | |
・ | 대유행 종식은 아직 멀었다. |
大流行の終息はまだ遠い。 | |
・ | 14세기 중반 경, 유럽에서 대유행한 전염병은 흑사병으로 불리웠다. |
14世紀中ごろ、ヨーロッパで大流行した疫病は黒死病と言われた。 | |
・ | 14세기, 페스트 대유행으로 유럽 인구의 3할이 사망했다. |
14世紀、ペスト大流行で欧州の人口3割が死亡した。 | |
・ | 페스트는 유럽에서 대유행이 반복되어 피부가 검게 변해 죽는 병이었다. |
ペストはヨーロッパで大流行が繰り返され、皮膚が黒くなって亡くなる病気だった。 | |
・ |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서울 명동의 상가 공실률이 50%를 넘어섰다. |
新型コロナウイルスの大流行でソウル明洞の商店街の空室率が50%を超えた。 | |
・ | 코로나19 대유행은 유럽 국가들을 깊은 경기침체로 몰아넣었다. |
コロナ大流行は欧州諸国を深い景気低迷に陥れた。 |
필수지방산(必須脂肪酸) > |
외부(外部) > |
혼잡시(混雑時) > |
캔(缶) > |
칼춤(剣舞) > |
표적(標的) > |
도중(途中) > |
불필요(不要) > |
나이(年齢) > |
털보(毛深い人) > |
물결(波) > |
유니섹스(ユニセックス) > |
재방문자(再訪問者) > |
개발 원조(開発援助) > |
교착화(膠着化) > |
계약(契約) > |
독주(独走) > |
영감(老夫婦の妻が夫を呼ぶときの尊敬.. > |
고철(古鉄) > |
합병증(合併症) > |
속병(長患い) > |
입문(入門) > |
수료식(修了式) > |
샛길(抜け道) > |
대목(書き入れ時) > |
적대적(敵対的) > |
디지털 기술(デジタル技術) > |
칠판(黒板) > |
쑥(よもぎ) > |
인민(人民) > |